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국계 미국인의 정체성과 트랜스로컬적 경계 넘기 -리사 시의 《상하이 걸즈》를 중심으로-

이용수 3

영문명
Chinese American identity and crossing translocal boundaries. -Focusing on Lisa See’s 《Shanghai Girls》-
발행기관
한국중국문화학회
저자명
전영의
간행물 정보
『중국학논총』제81호, 183~212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3.31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crossing translocal boundaries as a way to explore identity, multiple sense of belonging, and place identity as a Chinese American, focusing on Lisa See's “Shanghai Girls.” Chinatown was an open and fluid local space created through the upper space of the United States as an organism and the central space of China as a fixed point. An isolated space, was transformed into a translocality space where various elements crossing porous boundaries interact with each other and are constantly reorganized through relationships. Trans immigrants attempted to build a social field and expand their space through movement. Their mobility was the foundation that supported socioeconomic life in the modern world and was constantly creating new mobility. Place identity was created in a kind of field where the perception of space, the results of will, and various opportunities for desire operate and are put into practice. In this respect, we cannot conclude that their identity is one just because they immigrated to the United States. Rather, we can understand their multiple senses of belonging and place identity when we cross boundaries and understand them translocally.

영문 초록

본 논문은 리사 시의 《상하이 걸즈》를 중심으로 중국계 미국인으로서 정체성, 다중적 소속감과 장소정체성을 알아보는 방법으로써 트렌스로컬적 경계 넘기에 대해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하이 사변에 미국으로 건너가게 된 펄과 메이 자매의 이야기를 통해 미국 이주 초창기 중국계 이주자들이 이주와 정착의 과정에서 폭력에 노출되어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수용소라는 무장소적 공간을 점차 가치중심의 공간으로 인지하고 미국이라는 실제적 지리 공간 안에서 중국계 이주자들이 일상적 장소감과 관계적 공간감을 통해 차이나타운이라는 로컬을 창출해냈다는 것을 알았다. 차이나타운은 미국이라는 유기체로서 상위공간과 중국이라는 고정점으로서 중심공간을 매개로 만들어진 개방적이고도 유동적 로컬공간이었다. 처음에는 배타적이었던 중국계 이주자들도 시간이 흐름에 따라 통합하는 모습을 보였다. 내부인에게는 정체성을 유지하면서 자신들의 권익을 보호하지만 외부인에게는 중국과 또다른 혼종된 문화를 보여주었다. 고립된 공간 차이나타운을 다공질의 경계를 넘나드는 다양한 요소들이 상호영향을 주고받으며, 관계맺기를 통해 끊임없이 재구성되는 트랜스로컬리티 공간으로 바꾸었다. 트랜스이주자들은 이동을 통해 사회적 장을 구축하고 자신의 공간을 확장하려 했다. 이들의 이동성은 현대 세계의 사회경제적 삶을 지탱하는 토대이자 끊임없이 창출되는 새로운 유동성을 갖고 있었다. 공간에 대한 인식, 의지의 결과물, 각종 욕망의 계기들이 작동하고 실천하는 일종의 장 안에서 장소정체성은 만들어졌다. 이런 점에서 미국으로 이주했다고 해서 이들의 정체성을 하나로 단정 지을 수 없고 오히려 경계를 넘어 트랜스로컬적으로 이해할 때 이들의 다중적 소속감이나 장소정체성을 이해할 수 있다.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1930년대 상하이의 도시공간과 모던 걸
Ⅲ. 이주와 정착의 과정에서 나타난 폭력성
Ⅳ. 트랜스로컬리티 주체의 다중적 소속감과 장소정체성
Ⅴ. 나가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전영의. (2024).중국계 미국인의 정체성과 트랜스로컬적 경계 넘기 -리사 시의 《상하이 걸즈》를 중심으로-. 중국학논총, (), 183-212

MLA

전영의. "중국계 미국인의 정체성과 트랜스로컬적 경계 넘기 -리사 시의 《상하이 걸즈》를 중심으로-." 중국학논총, (2024): 183-21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