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영훈 회화에서 ‘한국(성)’의 문제-앤서니 D. 스미스의 네이션과 에스니 개념을 중심으로-

이용수 53

영문명
The Problem of ‘Korea (Koreanity)’ in Ko Young-hoon’s Painting -Focusing on Anthony D. Smith’s Concept of “Nation” and “Ethnie”-
발행기관
한국박물관학회
저자명
이재걸
간행물 정보
『박물관학보』제46호, 191~216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2.31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고영훈의 50년 화업은 한국 극사실주의 미술의 탄생과 전개의 역사에 정확히 일치한다는 측면에서 매우 각별한 의미를 지닌다. 고영훈은 자신을 솔거와 윤두서의 후예로 여길 만큼 한국 리얼리즘 미술의 자생적, 주체적 역사 안에서 한국 전통의 미감을 현대적으로 탐색해 오고 있으며, 극사실적 묘사를 통한 ‘한국(성)’의 표현 가능성에 몰두해 왔다. 본 연구는 고영훈 회화에 ‘한국(성)’의 본질이 초기에서 후기로 나아감에 따라 사회적 주체성에서 문화적 정체성의 문제로, 네이션의 근대적 일체감에서 에스니의 원시적 공동체 의식으로 옮겨가고 있음을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 극사실 회화에서 한국(성)이라는 집단적 의식은 과연 무엇인가?”에 답하기 위해 사회학적⋅문화인류학적 측면에서 접근하고자 한다. 이는 고영훈의 회화뿐만 아니라 1970년대에 태동한 한국 극사실 회화가 민족의 유구한 문화적 연속성 안에서 개인의 체험된 삶을 미학화한 우리 현대미술의 소중한 자산임을 밝히려는 시도의 일환이기도 하다.

영문 초록

Ko Young-hoon’s 50-year painting industry has a very special meaning in that it exactly matches the history of the birth and development of Korean hyperrealist art. Ko Young-hoon has been modernly exploring the beauty of Korean tradition within the self-sustaining and subjective history of Korean realism art to the extent that he considers himself the descendants of Solgeo and Yoon Doo-Seo, and has been immersed in the possibility of expressing “Korea(Koreanity)” through hyperrealistic descriptions.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essence of “Korea(Koreanity)” in Ko Young-hoon’s paintings is shifting from social subjectivity to cultural identity and from Nation’s modern sense of unity to Esney’s primitive sense of community, and aims to approach it from a sociological and anthropological perspective. This is part of an attempt to reveal that not only Ko Young-hoon’s paintings but also Korean hyperreal paintings, which were born in the 1970s, are valuable assets of our contemporary art that aestheticallyize individuals’ experienced lives within the country’s long cultural continuity.

목차

Ⅰ. 들어가며
Ⅱ. 네이션, 에스니, 한국
Ⅲ. 고영훈 초기 회화와 근대적 일체감
Ⅳ. 오래된 정신, ‘우리(we)’라는 자각
Ⅴ. 나가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재걸. (2023).고영훈 회화에서 ‘한국(성)’의 문제-앤서니 D. 스미스의 네이션과 에스니 개념을 중심으로-. 박물관학보, (), 191-216

MLA

이재걸. "고영훈 회화에서 ‘한국(성)’의 문제-앤서니 D. 스미스의 네이션과 에스니 개념을 중심으로-." 박물관학보, (2023): 191-21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