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MZ 포스트메모리 세대의 문화적 기억과 기념관에서 일제강점기 역사의 재현: ‘아는 지식’을 넘어 ‘삶에 대한 통찰’로 안내
이용수 106
- 영문명
- Postmemory Generation MZ’s Cultural Memory and Representation of Japanese Colonial Occupation of Korea at The Memorial Museum, Insight into Humanity beyond Knowing
- 발행기관
- 한국박물관학회
- 저자명
- 강선주
- 간행물 정보
- 『박물관학보』제46호, 1~2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역사적 저항과 피해를 재현하고 희생자를 추모하는 기념관은 관람객과 어떻게 소통할 것인가? 이 논문에서는 그 질문에 기억 전승에 중요한역할을 하는 MZ 포스트메모리 세대의 일제강점기에 대한 문화적 기억을 검토하면서 대답한다. 기념관이 MZ 포스트메모리 세대와 소통하고자 한다면 그들이 과거에 던지는 질문에 관심으로 갖고 그 질문에 응답하는 방향, 그리고 과거의 사건과 기억의 영향을 받으며 살고 있는 그들의 이야기가 전시의 일부가 될 수 있는 방향에서 전시 콘텐츠를 구성할 필요가 있다. 그리하여 기념관이 권위적이고 일방적으로 기억을 전달하는 공간이 아닌, 과거와 현재가 이어지는 장, 경험 세대와 비경험 포스트메모리 세대가 한층 적극적으로 서로의 생각을 이야기하면서 소통할 수 있는 장으로 변모해야 한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endeavors to unravel how memorial museums, representing the traumatic epochs of the Japanese colonial occupation and commemorating its victims, can catalyze visitor engagement in the transmission of collective memory. The crux of this inquiry centers on the postmemory Generation MZ’s cultural memory of Japanese repression during the colonial era. The main argument is that, to effectively engage Generation MZ—a demographic distinct in its temporal detachment from the events yet deeply enmeshed in its cultural aftermath—memorial museums must undertake a dramatic transformation in their exhibition content organization. Memorial museums are tasked with curating content that not only resonates with Generation MZ’s interest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but also integrating their narratives and identities, which have been invariably shaped by the historical legacies. By embedding the stories and lived experiences of Generation MZ within the broader narrative of the exhibits, these museums can transform into dynamic spaces where past and present converge. Here, the generation that directly experienced these events and the subsequent postmemory generation can engage in meaningful dialogues, fostering a shared understanding of history. Such a transformation would mark a departure from a unidirectional, authoritative educational approach, replacing it with a model of interactive and participatory communication. This approach not only honors the complexity of historical events but also acknowledges the evolving nature of memory and identity in the context of generational shifts.
목차
Ⅰ.서론
Ⅱ. 포스트메모리와 한국의 MZ세대
1. 포스트메모리 세대
2. MZ세대의 기억의 의무
Ⅲ. MZ 포스트메모리 세대의 문화적 기억
1. MZ 포스트메모리 세대의 일본군 ‘위안부’와 일제강제동원 기억하기
2. MZ세대가 던지는 질문
Ⅳ. MZ 포스트메모리 세대와 소통의 장으로서 기념관
1. MZ 포스트메모리 세대의 질문에 응답하는 콘텐츠
2. MZ 포스트메모리 세대의 삶이 틈입할 수 있는 콘텐츠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예술의 ‘관계와 연결’ 형태와 뮤지엄의 역동적 변화
- 한국 가톨릭 미술품 사례 연구 -명동대성당과 혜화동성당을 중심으로-
- 포스트프로덕션 방법론에 의한 다면적 그리기 연구 -연구자의 트레이싱 드로잉 시리즈를 중심으로-
- 제주 정난주 인물 기념관 설립을 위한 방향성 모색
- 소셜미디어 텍스트 마이닝을 이용한 미술관 방문 동기 탐색
- MZ 포스트메모리 세대의 문화적 기억과 기념관에서 일제강점기 역사의 재현: ‘아는 지식’을 넘어 ‘삶에 대한 통찰’로 안내
- 경기도의 에코뮤지엄 수용과 지속가능성에 대한 성찰
-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박물관 마케팅의 국내외 연구동향 분석
- 시노그라피 전략으로 본 박물관 실감콘텐츠의 역할과 활용 의의 -국립중앙박물관의 디지털 실감콘텐츠 사례를 중심으로-
- 디지털 시대 박물관의 전시연출과 관람양상 연구 -국립중앙박물관 <사유의 방>을 중심으로-
- 디지털 전환 시대의 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을 활용한 박물관의 지속 가능한 발전 방안 연구 -북경 고궁박물관 사례를 중심으로-
- 경계를 넘나드는 새로운 박물관 전시전략 -서소문성지역사박물관 전시를 중심으로-
- ‘놀이’의 관점에서 본 현대미술의 유희성 연구
- 고영훈 회화에서 ‘한국(성)’의 문제-앤서니 D. 스미스의 네이션과 에스니 개념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역사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역사학분야 NEW
- The Cultural Mission in the New Era: Core Essentials, Generative Mechanisms, and Key Functions
- Xi Jinping's Triple Logic of the Important Exposition of Marine Powers into Colleges and Universities' Ideological and Political Courses
- The Contemporary Value, Basic Principles and Inheritance Paths of Outstanding Traditional Chinese Culture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