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도덕과 인구·다문화 가치 교육의 방향과 과제

이용수 18

영문명
The Direction and Challenges of Population and Multicultural Education on Moral Education
발행기관
충북대학교 교육개발연구소
저자명
김아영
간행물 정보
『한국교육논총(구 교육연구논총)』제44권 제3호, 397~436쪽, 전체 4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2.31
7,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인구·다문화 현상과 관련된 우리나라 다문화 교육의 특징을 비판적으로 논의하고, 이를 보완하기 위한 도덕과 다문화 가치 교육의 방향과 과제를 밝히는 것이다. 한국 사회의 다문화 교육은 저출생·고령사회 현상과 관련이 있다. 이러한 특징은 한국 사회의 다문화 교육이 ‘인문학적 담론의 부재’, ‘의도적 경계지움 생성’, ‘입체적 담론 반영에의 한계’ 등을 드러내는 원인이 된다. 이는 한국 사회에 내재한 주체적 자아관 지향과 관련이 있다. 벤하비브(Benhabib, S.)는 비판 철학에 내재한 주체적 자아관 지향이 비판 철학이 근대 철학의 한계를 극복하는 것에 한계가 되었다고 주장한다. 벤하비브의 주체적 자아관 기반 철학에 대한 비판과 같이, 도덕과 인구·다문화 교육이 지향하는 다문화 가치 교육의 방향은 주체적 자아관을 극복하고 관계적 인식론에 기반하여 설계되어야 한다. 또한 욕구와 연대의 공동체 내에서 건전하게 수행되는 건설적 사고의 과정을 통해 다문화 교육의 세부 교육 내용을 구축해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우리 공동체의 평화에 기여하는 다문화 가치교육의 방향을 도덕과 교육 연구로써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discuss the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related to population and multicultural phenomena, and to clarify the direction and task of multicultural value education in moral education.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is related to the phenomenon of low birth and aging society. These characteristics are the cause of Korean multicultural education revealing 'the absence of humanistic discourse', 'the creation of intentional boundary support', and 'limits to reflecting various discourses'. This is related to the subjective self-view orientation inherent in Korean society. Seyla Benhabib argues that the subjective self-view orientation inherent in critical philosophy has become a limit in that critical philosophy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modern philosophy. Like Seyla Benhabib's criticism of the philosophy of subjective self-view, the direction of multicultural value education pursued by population and multicultural education in moral education should be designed based on relational epistemology by overcoming subjective self-relationship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detailed educational conte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rough the process of constructive thinking that is soundly carried out within the community of needs and solidarity. Through this, we will be able to develop the direction of multicultural value education that contributes to peace in our community through moral educational research.

목차

Ⅰ. 서론
Ⅱ. 저출생·고령화 사회와 다문화 교육
Ⅲ. 주체적 자아관 극복 필요성
Ⅳ. 도덕과 인구·다문화 가치 교육의 방향과 과제
V.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아영. (2023).도덕과 인구·다문화 가치 교육의 방향과 과제. 한국교육논총(구 교육연구논총), 44 (3), 397-436

MLA

김아영. "도덕과 인구·다문화 가치 교육의 방향과 과제." 한국교육논총(구 교육연구논총), 44.3(2023): 397-43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