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예비유아교사의 정서지능, 수업역량,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구조적 관계
이용수 61
- 영문명
-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Teaching Competencies, and Teacher–Child Interactions i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 발행기관
-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김정희
- 간행물 정보
- 『교육논총』제43권 제4호, 129~140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예비교사의 정서지능이 교사-유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서 수업역량의 매개효과를 살펴봄으로써 예비교사의 교사-유아 상호작용 역량 증진을 위한 실천적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와 인천에 소재한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 180명이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와, 상관분석, 경로분석 및 매개효과 검증을 통하여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교사의 정서지능, 수업역량은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교사의 정서지능은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서 수업역량을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예비교사의 정서지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직접적인 효과보다 수업역량을 매개로 상호작용에 미치는 간접적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결과는 예비교사의 상호작용 증진을 위해서는 정서지능과 수업역량을 연계한 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plore practical strategies for enhancing the competencie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eacher–child interactions by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ing competencies on the influence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teacher–child interactions. A total of 180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enroll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s in Gyeonggi and Incheon.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path analysis, and medi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or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The study results revealed the following key findings: First, the emotional intelligence and teaching competencie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directly influence teacher–child interactions. Second,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directly affects teacher–child interactions through teaching competencies. Emotional intelligence was confirmed to have an indirect effect on teacher–child interactions through teaching competencies, which is greater than its direct effect. In conclus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education aimed at improving emotional intelligence and teaching competencies is essential for enhancing teacher–child interactions amo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목차
I. 서론
II. 연구 방법
III. 연구 결과
IV.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예비유아교사의 정서지능, 수업역량,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구조적 관계
- 대중국악의 교육현황 및 중등음악교사의 인터뷰를 활용한 발전방안
- 우리나라 초등 수학 교과서에서 외적 비율을 포괄하는 비율 지도에 대한 소고
- 일반인의 발명에 대한 태도 조사분석
- 초등 여교사가 지각하는 체육수업열정이 주관적 체육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교사-학생 관계 효능감의 상호작용효과
- 게이미피케이션 기반 인공지능 윤리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들의 인공지능 윤리 의식에 미치는 영향
- 초등 예비교사교육자의 일상 속 걷기 경험과 의미
- 초등학교 스포츠강사의 직무성과와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의 조절효과 검증
- 초등교사의 사회 검정교과서 선정 과정 탐색: 기준과 현실의 모순
- 2022 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체육과 표현 영역의 신체활동 예시와 용어 정리 탐색
- 포괄적 음악성과 실천적 음악교육의 공통점과 차이점 고찰
- 국악교육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 가치 함양을 위한 실천적 접근
- 유아교사의 디지털 콘텐츠 활용 실태 및 인식
- 시나리오 기반 국어과 경청 교수⋅학습 모형 연구
- 블렌디드 러닝 실행 지원을 위한 학생 역할 체크리스트 개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Journal of Education and Teaching Vol.2 No.10 Contents
- “健康中国”战略下地方师范院校大学生健康信息素养的思考
- 人工智能技术赋能精准思政的耦合逻辑与优化路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