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발달장애학생의 공격행동 예방을 위한 긍정적행동지원 시 지원요구 및 역할기대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이용수 76
- 영문명
-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of Support Demands and Role Expectations in PBS for Preventing Aggressive Behaviors in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오정숙 박경옥 윤주연 한경인 박남수 류정탁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제16권 제4호, 177~199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발달장애 학생의 공격행동 중재의 목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긍정적행동지원에 대한 특수교사들의 지원요구와 행동중재 과정에서 협력하는 인력 간 역할기대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온라인 설문 시스템을 활용하여 310명의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특수교사들은 긍정적행동지원의 5단계 절차의 필요도와 실행도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긍정적행동지원을 수행함에 있어 특수교사의 최우선 지원요구는 도전행동에 대한 정의 및 관찰(환경분석, 수업행동관찰), 기능평가 및 가설검증(행동기능분석 및 가설설정), 중재계획(학생 흥미 및 관심도, 발달수준 파악, 중재계획), 중재실행(의미있는 활동, 학급규칙 수립, 촉진체계 및 대체행동 등의 중재방법), 중재 평가 및 조정(행동 데이터화, 수업 반영)의 단계에서 15개 항목으로 나타났다. 긍정적행동지원의 단계별 학부모, 교사, 전문가 간의 역할기대에 있어서는 교사의 역할이 가장 크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양육자와 전문가의 역할기대에 있어서는 단계별로 차이가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발달장애학생의 공격행동 중재를 위한 긍정적행동지원에 대한 지원 방향에 대해 논의하고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amine how special educators perceived the needs for support and the expectations of their collaborator roles when it came to positive behavioral supports, or PBS, which are used to intervene with aggressive behavior in students who have developmental impairments. 310 participants' information was gathered using an online survey in order to fulfill the study's objectives. The findings show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of the five PBS procedures' necessity and their actual use of them. Second, when implementing PBS, the stages of defining and observing challenging behavior (behavioral function analysis and hypothesis formulation), functional assessment and hypothesis testing (behavioral function analysis and classroom behavior observation), intervention planning (identifying student interests and concerns, developmental level, intervention planning), intervention implementation (meaningful activities, classroom rules, promotion systems, and alternative behaviors), and intervention evaluation and adjustment (behavioral data collection, classroom reflection) were the top 15 items that special education teachers needed support for. Third, teachers were seen as having the highest responsibility, and caregivers' and professionals' expectations varied depending on the stage of PBS, according to the expectations of parents, teachers, and professionals. We talked about and offered recommendations for the direction of assistance for PBS for the intervention of aggressive behavior in students with developmental impairments based on the study's findings.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II.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15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진로와 직업 교과서의 수록 어휘 분석
- 미래 사회와 특수교육에 관한 예비 특수교사의 인식에 관한 질적 연구
- 특수교육 교육과정에 반영된 디지털 리터러시 분석 : 기본교육과정 중학교 국어, 사회, 수학, 과학, 진로와직업, 정보통신활용 교과를 중심으로
- 장애 학생을 위한 작문 연구 분석
- 통합교육 환경에서 장애학생의 학업성취와 수업참여 행동 향상을 위한 국내외 중재 연구 분석
- 발달장애학생의 공격행동 예방을 위한 긍정적행동지원 시 지원요구 및 역할기대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 수-대화 기반 CSA 수업모형 적용 수학수업에서 나타난 특수교사의 실천적 지식과 지적장애학생의 변화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