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Vocabulary Included in the Career and Vocation Textbooks of the 2015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송승민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제16권 제4호, 1~2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2015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진로와 직업 교과서의 수록 어휘를 분석하여 향후 개정될 교과서의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2015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진로와 직업 교과서 4권을 대상으로 하였다. 진로와 직업 교과서에 수록된 전체 어휘, 명사, 동사로 구분하여 어휘의 다양성과 양상을 분석하였다. R, UCINET, NetDraw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텍스트 마이닝 분석 및 시각화를 하였다. 주요 결과로 첫째, 진로와 직업 교과서의 어휘 다양성 지수인 RTTR은 중학교 17.88, 고등학교 18.78으로 종적 연계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와 직업 교과서의 명사는 ‘자기 탐색’, ‘직업의 세계와 작업 기초 능력’, ‘진로 의사결정 일부와 진로준비’, ‘진로의 의사결정 일부와 직업 생활’로 유목화되었다. 셋째, 진로와 직업 교과서의 동사는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에 의거하여 ‘적용하다’에 해당하는 비율이 중학교 56.3%, 고등학교 54.6%로 과반수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기본 교육과정 진로와 직업 교과서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vocabulary included in the career and vocation textbooks of the 2015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and suggest implications for textbooks to be revised in the future. For this purpose, four volumes of career and vocational textbooks of the 2015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were used. The diversity and aspects of vocabulary were analyzed by dividing into total vocabulary, nouns, and verbs contained in career and vocation textbooks. Text mining analysis and visualization were performed using R, UCINET, and NetDraw program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TTR, the vocabulary diversity index of career and vocation textbooks, was 17.88 for middle school and 18.78 for high school, showing a longitudinal linkage. Second, nouns in career and vocational textbooks were grouped into ‘self-exploration,’ ‘the world of work and basic work skills,’ ‘part of career decision-making and career preparation,’ and ‘part of career decision-making and professional life.’ Third, according to Bloom's Taxonomy, most of the verbs in career and vocation textbooks was ‘apply’, accounting for 56.3% in middle school and 54.6% in high school.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Basic Curriculum career and vocation textbook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II.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15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진로와 직업 교과서의 수록 어휘 분석
- 미래 사회와 특수교육에 관한 예비 특수교사의 인식에 관한 질적 연구
- 특수교육 교육과정에 반영된 디지털 리터러시 분석 : 기본교육과정 중학교 국어, 사회, 수학, 과학, 진로와직업, 정보통신활용 교과를 중심으로
- 장애 학생을 위한 작문 연구 분석
- 통합교육 환경에서 장애학생의 학업성취와 수업참여 행동 향상을 위한 국내외 중재 연구 분석
- 발달장애학생의 공격행동 예방을 위한 긍정적행동지원 시 지원요구 및 역할기대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 수-대화 기반 CSA 수업모형 적용 수학수업에서 나타난 특수교사의 실천적 지식과 지적장애학생의 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