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통합교육 환경에서 장애학생의 학업성취와 수업참여 행동 향상을 위한 국내외 중재 연구 분석
이용수 219
- 영문명
- Analysis of studies for improving academic achievements and classroom participation behavior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an inclusive education environment
- 발행기관
-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지영 백예은 이숙향
- 간행물 정보
-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제16권 제4호, 111~147쪽, 전체 3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7,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통합교육 환경에서 장애학생의 학업성취와 수업참여 행동 향상을 위한 국내외 중재연구 42편을 분석하고 향후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초등 고학년, 장애 유형은 지적장애, 실험설계는 단일대상 연구, 과목은 과학과, 중재자는 일반교사가 가장 많았다. 독립변인은 통합학급 전체를 대상으로 한 경우와 장애학생만 대상으로 한 경우에 따라 다양했으며 중재 장소는 통합학급이 가장 많았다. 종속변인으로는 장애학생의 사회 및 수학과 학업성취, 수업참여 행동 중 과제 수행하기와 일반학생의 수학 및 과학과 학업성취가 측정된 경우가 많았다. 교사 및 주요 관련인을 대상으로 중재 사용과 교사 효능감 등을 측정한 연구도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1) 학업성취와 수업참여 행동 향상을 위한 연구 범위 확장, 2) 일반교사 지원과 일반교사-특수교사 간 협력의 중요성, 3) 중재 효과 및 연구 결과의 타당성 확보를 위한 노력, 4) 통합교육 현장의 교수학습 실제와의 연계 방안.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42 intervention studies for improving academic achievements and classroom participation behavior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an inclusive education environment and to discuss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The study participants were mostly upper elementary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the experimental design was mainly single-subject research. The subject focused on science, and mostly general education teachers implemented the intervention. The independent variables varied based on whether the study targeted the entire inclusive classroom or only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wheter the intervention setting was primarily within the inclusive classroom. The most commonly measured dependent variables included the social and mathematical academic achievemen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ask performance among, classroom participation behaviors. Additionally, there were studies that measured general students’ mathematical and scientific academic achievements. Some studies also measured intervention usage and teacher efficacy among teachers and key stakeholders. Based on these results,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were made for future research: 1) expanding the scope of research for improving academic achievement and classroom participation behavior, 2)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support for general teachers and collaboration between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3) efforts to ensure intervention effectiveness and the validity of research results, 4) strategies to connect research findings with the actual teaching and learning practices in inclusive education settings.
목차
Ⅰ. 서 론
II.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15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진로와 직업 교과서의 수록 어휘 분석
- 미래 사회와 특수교육에 관한 예비 특수교사의 인식에 관한 질적 연구
- 특수교육 교육과정에 반영된 디지털 리터러시 분석 : 기본교육과정 중학교 국어, 사회, 수학, 과학, 진로와직업, 정보통신활용 교과를 중심으로
- 장애 학생을 위한 작문 연구 분석
- 통합교육 환경에서 장애학생의 학업성취와 수업참여 행동 향상을 위한 국내외 중재 연구 분석
- 발달장애학생의 공격행동 예방을 위한 긍정적행동지원 시 지원요구 및 역할기대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 수-대화 기반 CSA 수업모형 적용 수학수업에서 나타난 특수교사의 실천적 지식과 지적장애학생의 변화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