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예비교사의 공간적 시민성 함양을 위한 커뮤니티매핑 활용 가능성 모색

이용수 40

영문명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Using Community Mapping to Foster Spatial Citizenship in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발행기관
한국사회과수업학회
저자명
한동균
간행물 정보
『사회과수업연구』제11권 제2호, 27~46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2.31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예비교사의 공간적 시민성 함양을 위해 커뮤니티매핑 프로젝트를 실시하여 그 가능성을 탐색해 보는 데에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예비교사들이 직접 공간적 시민성 함양에 적합한 프로젝트 주제를 선정 및 추진 계획을 수립하여, 이의 계획에 따라 프로젝트를 진행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프로젝트 사례를 분석하여 이에 나타난 예비교사들의 반응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예비교사들의 소감문과 프로젝트 평가지를 분석한 결과, 참여자들은 커뮤니티매핑 과정을 통해 공간적 시민성 교육 관점에서 사회적 문제를 분석할 수 있었으며, 지리공간기술로서 커뮤니티매핑의 효용성에 대해 이해할 수 있었다. 그리고 다음과 같은 시사점과 한계점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프로젝트 수행 과정에서 공간의 사회적 구성이나 관계적 이해와 같은 공간적 속성을 이해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점검과 적절한 피드백이 필요해 보인다. 둘째, 초등예비교사가 지리정보기술 활용과 공간적 분석 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초등양성기관에서 교육적 기회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셋째, 예비교사들이 공간적 시민으로서 실제 문제 해결에 이를 수 있도록 지역사회와 연계하여 다양한 참여 기회를 마련해주는 것이 필요해 보인다. 넷째, 본 프로젝트의 커뮤니티매핑 결과물이 지속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 다섯째, 공간적 시민성 역량 파악이 용이하도록 측정 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러한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초등예비교사의 공간적 시민성 함양을 위한 커뮤니티매핑 프로젝트의 활용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using community mapping project to foster spatial citizenship among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In this study, the pre-service teachers themselves selected a project topic suitable for fostering spatial citizenship, established a plan for implementation, and carried out the project according to the plan. Then, we analyzed the project cases and examined the preservice teachers' respons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re-service teachers' reflections and project evaluation sheets, the participants were able to analyze social issues from the perspective of spatial citizenship education through the community mapping process and understand the utility of community mapping as a geospatial technology. The following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can be drawn. First, it seems that continuous checks and appropriate feedback are necessary to understand spatial attributes such as social organization and relational understanding of space during the project implementation process. Second, it is necessary to expand educational opportunities in elementary education institutions so that pre-service teachers can be equipped with geographic information technology utilization and spatial analysis skills. Third, it is necessary to provide various participation opportunities in connection with the local community so that pre-service teachers can solve real-world problems as spatial citizens. Fourth, it is necessary to find ways to continue utilizing the community mapping results of this project. Fifth,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measurement tool to facilitate the identification of spatial citizenship competences. Despite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ought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utilizing a community mapping project to foster spatial citizenship in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목차

I.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II. 공간적 시민성과 커뮤니티매핑의 교육적 의미
III. 공간적 시민성 함양을 위한 프로젝트
IV. 결론 및 시사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동균. (2023).초등예비교사의 공간적 시민성 함양을 위한 커뮤니티매핑 활용 가능성 모색. 사회과수업연구, 11 (2), 27-46

MLA

한동균. "초등예비교사의 공간적 시민성 함양을 위한 커뮤니티매핑 활용 가능성 모색." 사회과수업연구, 11.2(2023): 27-4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