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제강점기 『동아일보』 연재물 「전설의 조선」 및 「전설」의 문화적 위상
이용수 47
- 영문명
- Cultural Status of Dong-A Ilbo Serial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Jeonseol-ui Joseon (legend of Joseon)”and “Jeonseol (legend)”
- 발행기관
- 한국구비문학회
- 저자명
- 최원오
- 간행물 정보
- 『구비문학연구』제71집, 213~267쪽, 전체 5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9,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일제강점기 『동아일보』의 전설 연재물 「전설의 조선」(1927.8.20~12.28) 및 「전설」(1932.6.2.~10.15)의 문화적 위상을 탐구하는 데 있다. 그간 연구자들은 ‘한국 전설의 역사’를 논의하는 과정에서 일제강점기를 언급하지 않았다. 그러나 최근에 이 시기의 전설자료집에 대한 연구가 다수 이루어졌으므로, 이들 선행연구를 토대로 한국 전설의 역사를 보완할 수 있게 되었다. 그 연구 중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이홍기의 『조선전설집』(조선출판사, 1944)이 한글로 펴낸 최초의 전설자료집이라는 주장이다. 한국 전설자료집으로 최상수의 『한국민간전설집』(을유문화사, 1947.; 통문관, 1958)이 최초 자료집으로서 평가를 받아 왔으나, 이홍기의 『조선전설집』이 그 자리를 대신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홍기의 전설자료집은 『동아일보』의 전설 연재물인 「전설」에 영향을 받은 바 크다. 『동아일보』는 1920년대 후반부터 1930년대 초까지 민간전승의 조선 전설을 발굴하고, 신문지면에 체계적으로 소개하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전설의 조선」, 「전설」이라는 제명의 연재물이 그것이다. 이 연재물에 수록된 전설 자료들이 비록 책자 형태로 함께 묶여 발간되었던 것은 아니지만, 뚜렷한 목적 하에 조선 전설을 수집하여 소개한 컬렉션, 즉 자료집으로서의 의의가 있다. 일제의 식민 정책에 대응하는 ‘내부자의 시선’으로 작업한 첫 시도였다는 점에서 이들 전설 연재물이 가지고 있는 문화적 위상과 가치는 높고 크다. 또한 『동아일보』의 전설 연재물은 식민지라는 암울한 상황에서 우리 민족의 전통 정신과 향토성을 발견하고 부흥시키려 했는바, 이는 우리 민족 전체를 대상으로 문화 치료의 기능을 수행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cultural status of “Jeonseol-ui Joseon (legend of Joseon)” (1927.8.20-12.28) and “Jeonseol (legend)” (1932.6.2. -10.15) serialized in Dong-A Ilbo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us far, researchers have not mentioned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the process of discussing the “history of Korean legends.” However, many recent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legend collections from this period, making it possible to supplement the history of Korean legends with prior studies. The most noteworthy aspect of these studies is the claim that Lee Hong-ki's Joseon Legend Collection (Chosun Publishing Company, 1944) was the first collection of legends published in Korean. Choi Sang-soo's Korean Folk Legends Collection (Eulyu Munhwasa, 1947; Tongmungwan, 1958) was evaluated as the first collection of Korean legends. However, Lee Hong-ki's Joseon Legends Collection can take its place. Lee Hongki’s legend collection was greatly influenced by Dong-A Ilbo’s legendary serial “Jeonseol”. From the late 1920s to the early 1930s, Dong-A Ilbo carried out the task of discovering Joseon legends from folklore and systematically introducing them into newspapers. These are serials titled “Jeonseol-ui Joseon” and “Jeonseol”. Although the legendary materials included in this series were not published together in the form of a booklet, they are significant as a collection of Joseon legends collected and introduced with a clear purpose, that is, data collection. The cultural status and value of these series are high and significant in that it was the first attempt to work from an “insider’s perspective” in response to Japan’s colonial policy. Additionally, Dong-A Ilbo's legendary series attempted to discover and revive the traditional spirit and local character of the people in the dark situation of colonialism, which can be said to have performed the function of cultural therapy for the entire Korean population.
목차
1. 서론
2. ‘조선 전설’의 형성과 몇 가지 전개 방향
3. 동아일보 연재물 「전설의 조선」및 「전설」의 위상
4. 맺음말을 겸하여: 문화 치료로서의 전설
키워드
전설의 조선
전설
동아일보
이홍기
최상수
『조선전설집』
『한국민간전설집』
전설의 역사
일제강점기
전설따라 삼천리
전설의 고향
Jeonseol-ui Joseon (legend of Joseon)
Jeonseol (legend)
Dong-A Ilbo
Lee Hong-ki
Choi Sang-soo
Joseon Legends Collection
Korean Folk Legends Collection
History of Korean Legends
Japanese colonial era
Jeonseolttala Samcheonli (3000 miles following the legend)
Jeonseol-ui Gohyang (hometown of legend)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 고전 서사문학에 나타난 책방형(冊房型) 인물의 존재 양상과 특징
- 가능세계의 양상 논리 시스템을 활용한 전설 서사 분석 모델 연구
- 절망의 개념을 통해 본 <장자못 전설> 속 ‘돌이 된 며느리’의 존재적 의미
- 디아스포라 작가의 소설에서 호랑이 메타포의 활용 양상 - 태 켈러, 『호랑이를 덫에 가두면』과 김주혜, 『작은 땅의 야수들』을 중심으로
- 『삼국유사(三國遺事)』 「탑상(塔像)」 편의 기록성과 구술성 - 「가섭불연좌석(迦葉佛宴坐石)」·「전후소장사리(前後所将舎利)」 조를 중심으로
- 『DBS 리포트』 「민요의 고향」을 통해 본 1970년대 중반 한국민요 전승 실태
- 일제강점기 『동아일보』 연재물 「전설의 조선」 및 「전설」의 문화적 위상
- 텍스트마이닝을 통해 분석한 지역별 고유 구비설화 전승의 면모 -지명전설과 인물전설을 중심으로
- 지역 서사로서 견훤 이야기의 구성과 의미 연구
- 서구 구비문학 관계 연구서(英書) 목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