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삼국유사(三國遺事)』 「탑상(塔像)」 편의 기록성과 구술성 - 「가섭불연좌석(迦葉佛宴坐石)」·「전후소장사리(前後所将舎利)」 조를 중심으로

이용수 16

영문명
Orality and Literacy of Samkukyusa “Tapsang”
발행기관
한국구비문학회
저자명
윤예영
간행물 정보
『구비문학연구』제71집, 141~179쪽, 전체 39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2.31
7,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구술성과 기록성, 매체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바탕으로 『삼국유사』 「탑상」 편을 새롭게 읽고자 한다. 매체의 개념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는 것은 『삼국유사』라는 맥락(텍스트), 『삼국유사』 서술과 편찬의 맥락(컨텍스트), 더 나아가 출간과 현재 수용의 맥락(전승)에서 구술성과 기록성, 매체의 개념을 재개념화하고 역사화한다는 것이다. 『삼국유사』 「탑상」 편에는 쉽게 일반화, 유형화할 수 없는 주제와 형식의 이야기들이 모여있다. 이러한 특성을 텍스트의 이질성과 다양성이라고 할 때, 「탑상」 편의 「가섭불연좌석」 조와 「전후소장사리」 조는 텍스트의 이질성과 다양성이 극대화되어 나타나는 대표적인 사례로 볼 수 있다. 「가섭불연좌석」 조와 「전후소장사리」 조는 다른 출처로부터 인용한 구술, 기록 자료가 『삼국유사』의 다른 편목의 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많을 뿐만 아니라, 그 결과 이들을 인용하는 목소리가 끊임없이 끼어들게 된다. 찬, 논평, 직접 경험의 보고 등이 인용하는 목소리가 텍스트화 된 대표 사례이다. 그런데 이러한 인용하는 목소리는 다양한 전승을 하나로 통합하기보다는, 오히려 인용된 목소리들에 의해 인용하는 목소리가 파열되고, 단속되는 양상이 「가섭불연좌석」 조와 「전후사리소장」 조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따라서 본고는 「가섭불연좌석」 조와 「전후사리소장」 조를 중심으로, 「탑상」 편의 텍스트적 이질성과 다양성을 생성해내는 주요한 기제인 인용을 분석하고, 「탑상」 편의 인용을 지시적 발화가 아닌 수행적 발화로 읽을 것을 제안한다. 인용을 지시적 발화로 읽는다는 것은 정확한 지시 대상(출전)을 지시하고, 역사적 맥락을 고증하고, 이미 있는 대상을 발굴하고 추적하는 읽기이다. 반면 수행적 발화로 읽는다는 것은 발화의 그물망을 통해 지시 대상을 창출, 축적, 아카이빙하는 발화로 읽는다는 것이다. 마지막에는 이러한 수행적 발화로서의 인용의 효과를 매체로서의 탑과 불상과의 유비적 관계를 통해 설명하고자 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rereads Samguk Yusa “Tapsang” based on the critical media literacy theory and deconstruction. The new media literacy theory reconceptualizes and historicizes the concepts of orality, literacy, and media in the context of the Samguk Yusa, the context of publication, and present acceptance. In “Tapsang,” the themes and forms of each story, or section(jo), which cannot be easily generalized and categorized, are gathered. “Gasubulyeonchasok” and “Jeonhusochangsari” refer to these characteristics as the heterogeneity and diversity of the text, “Gasubulyeonchasok” and “Jeonhusochangsari.” This is because various records and oral materials are cited and edited in these two sections, and the voice of the author or the compilation is intervened in various forms, such as chan, commentary, and reports between these oral and literacy transmissions.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analyzing citations, which are the main mechanisms for creating textual heterogeneity and diversity in “Tapsang” and reading its citations as performative enunciations rather than references. Reading citations as referential enunciations directs an accurate referent, testifies to the historical context, and reveals and excavates objects that authentically exist. In contrast, performative enunciations create, accumulate, and archive referents through a network of enunciations. I tried to explain the effect of citation as a performative enunciation through its analogic relationship with the pagoda or Buddha statue as a trace (medium) of the existence and absence of the sacred.

목차

1. 서론
2. 「탑상」편에 나타난 말과 글
3. 수행적 발화로서의 인용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윤예영. (2023).『삼국유사(三國遺事)』 「탑상(塔像)」 편의 기록성과 구술성 - 「가섭불연좌석(迦葉佛宴坐石)」·「전후소장사리(前後所将舎利)」 조를 중심으로. 구비문학연구, (), 141-179

MLA

윤예영. "『삼국유사(三國遺事)』 「탑상(塔像)」 편의 기록성과 구술성 - 「가섭불연좌석(迦葉佛宴坐石)」·「전후소장사리(前後所将舎利)」 조를 중심으로." 구비문학연구, (2023): 141-17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