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DBS 리포트』 「민요의 고향」을 통해 본 1970년대 중반 한국민요 전승 실태
이용수 30
- 영문명
- The Status of Korean Folk Song Transmission in the Mid-1970s Seen through DBS Report “Minyo-ui Gohyang”
- 발행기관
- 한국구비문학회
- 저자명
- 이유진
- 간행물 정보
- 『구비문학연구』제71집, 181~211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1970년대 중반 동아방송(DBS)에서 제작, 방송했던 『DBS 리포트』 「민요의 고향」을 통해 당시 남한에서의 토속민요 전승 실태(實態)를 검토하는 것이다. 『DBS 리포트』 「민요의 고향」은 농어촌을 찾아가 민요 전승 실태를 취재, 보도한 라디오 다큐멘터리 시리즈로, 1974년에 15회, 1975년에 10회 제작, 방송되었다. 비록 전국의 모든 지역을 다루지는 못했으나, 경상남도, 경상북도, 전라남도, 전라북도, 강원도, 충청북도 등이 취재 지역에 포함되었고, 마을 단위로 취재를 진행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당시에 라디오, TV, 음반 등 근대적 미디어를 통해 흔히 접할 수 있었던 통속민요가 아닌 토속민요를 취재하여 심층 보도함으로써 민요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제고했다는 점에서 중요성을 갖는다.
『DBS 리포트』 「민요의 고향」은 농어촌에 어떤 민요들이 남아 있는지를 보도하는 데 그치지 않고, 마을 주민들이 민요를 어떻게 전승하고 있는지, 그리고 그들에게 민요가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보도했다. 이 프로그램은 총 18개 마을을 취재했는데, 그중 민요가 활발히 전승되고 있었던 마을은 8개였다. 나머지 10개 마을에서는 민요가 채록되기는 했지만, 활발히 전승되지 않고 있었다. 그 주요 원인은 생활환경의 변화였다. 어촌에서는 어업 기술의 발달과 어장의 변화로 인해 재래식 어업이 쇠퇴하면서 어업노동요를 부를 기회가 사라졌고, 농촌에서도 영농 기계화와 제초제 사용, 지역의 공업화 등으로 인해 민요를 부를 기회가 줄어들었다. 라디오를 통한 대중가요의 보급도 민요의 전승을 위축시켰다. 그런데 그러한 변화를 겪으면서도 주민들이 합심하여 민요를 보존한 마을들이 있었다는 점이 주목된다. 그 주민들에게 민요는 노동의 지루함과 고단함을 덜어주고 작업의 효율을 높여주는 수단일 뿐만 아니라, 삶을 영위하게 하는 활력의 원천이자 일상을 풍요롭게 가꾸어 주는 예술이며, 후세에 전해 주어야 할 소중한 문화유산이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actual status of the transmission of folk songs in South Korea in the mid-1970s through DBS Report "Minyo-ui Gohyang (Hometown of Folk Songs)" produced and broadcast by Dong-A Broadcasting System (DBS). DBS Report "Minyo-ui Gohyang" was a radio documentary series that covered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to report on folk song transmission. DBS produced and broadcast 15 episodes of DBS Report "Minyo-ui Gohyang" in 1974 and 10 episodes in 1975. Although it did not cover all regions of the country, Gyeongsangnam-do, Gyeongsangbuk-do, Jeollanam-do, Jeollabuk-do, Gangwon-do, and Chungcheongbuk-do were included and the coverage was conducted at the village level. This program was significant in that it raised the public’s awareness of folk songs by covering and reporting in-depth on native folk songs rather than popular folk songs that were often heard through modern media, such as radio, TV, and LP at the time.
DBS Report "Minyo-ui Gohyang" not only reported what kind of folk songs remained in the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but also how the villagers were passing down folk songs and what these meant to them. This program covered a total of 18 villages. In 8 villages, folk songs were actively transmitted, while in the rest 10 villages, folk songs were found but not actively transmitted. The main cause of this was the changes in living conditions. In fishing villages, the opportunities to sing fishing labor songs disappeared with the decline of traditional fishing due to the development of fishing technology and changes in fishing grounds. Similarly, in rural areas, the opportunities to sing folk songs decreased due to the mechanization of farming, the use of herbicides, and the industrialization of the region. The spread of popular songs through the radio also diminished the transmission of folk songs. However, it is noteworthy that some villages underwent the same changes while the villagers worked together to preserve their folk songs. For them, folk songs were not only a means of relieving the boredom and exhaustion of labor and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work but also a source of vitality for living, art that enriched daily life, and valuable cultural heritage to be passed on to future generations.
목차
1. 서론
2. 조선일보 연재 「민요의 고향」과 DBS 리포트 「민요의 고향」
3. DBS 리포트 「민요의 고향」에 나타난 농어촌의 민요 전승 실태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 고전 서사문학에 나타난 책방형(冊房型) 인물의 존재 양상과 특징
- 가능세계의 양상 논리 시스템을 활용한 전설 서사 분석 모델 연구
- 절망의 개념을 통해 본 <장자못 전설> 속 ‘돌이 된 며느리’의 존재적 의미
- 디아스포라 작가의 소설에서 호랑이 메타포의 활용 양상 - 태 켈러, 『호랑이를 덫에 가두면』과 김주혜, 『작은 땅의 야수들』을 중심으로
- 『삼국유사(三國遺事)』 「탑상(塔像)」 편의 기록성과 구술성 - 「가섭불연좌석(迦葉佛宴坐石)」·「전후소장사리(前後所将舎利)」 조를 중심으로
- 『DBS 리포트』 「민요의 고향」을 통해 본 1970년대 중반 한국민요 전승 실태
- 일제강점기 『동아일보』 연재물 「전설의 조선」 및 「전설」의 문화적 위상
- 텍스트마이닝을 통해 분석한 지역별 고유 구비설화 전승의 면모 -지명전설과 인물전설을 중심으로
- 지역 서사로서 견훤 이야기의 구성과 의미 연구
- 서구 구비문학 관계 연구서(英書) 목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