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스스로 저성취로 인식하는 학습자의 중․고등학교 시기 정서․행동문제 유형과 전이양상 및 관련 변인의 영향

이용수 47

영문명
The Types, Transition Patterns, and Influencing Variables of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for Learners who Perceive Themselves as Low Achiever during Middle and High School
발행기관
한국학습장애학회
저자명
허유성 김민성
간행물 정보
『학습장애연구』제20권 제3호, 33~62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2.31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스스로 저성취로 인식하는 학습자의 중․고등학교 시기 정서·행동문제 수준, 유형과 전이양상 및 영향 변인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2018’의 중1패널 자료, 3, 5차년도(2020, 2022년)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대상은 3, 5차년도(중3, 고2) 조사에 모두 참여한 1,990명의 학생이다. 이 중 저성취 학생은 중학교가 351명(17.64%), 고등학교는 318명(15.98%)이다. 주요 연구결과를 보면, 첫째, 중·고등 학생의 정서․행동문제 중 위축과 주의집중 문제가 상대적으로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통성취이상 학생보다 저성취 학생의 정서·행동문제 수준이 높았다. 둘째, 정서·행동문제 유형은 정서·행동 안정형, 외현화문제 우세형, 주의집중·위축문제 우세형, 정서·행동문제 관심형, 정서·행동문제 주의형 등 5가지로 분류되었다. 중, 고등학교 모두 정서·행동문제 관심형과 주의집중·위축문제 우세형의 비율이 높았다. 저성취 학생이 보통성취이상 학생보다 중·고등학교 모두 정서·행동문제 관심형과 정서·행동문제 주의형의 비율이 높았다. 셋째, 정서·행동문제의 영향 요인은 스마트폰 의존이 모든 유형에서 일관되게 부정적 요인으로 나타났다. 넷째, 정서·행동문제의 종단적 전이확률을 분석한 결과, 외현화문제 우세형과 주의집중·위축문제 우세형 간 이동 비율과 정서·행동 관심형과 정서·행동문제주의형 간 이동이 많았다. 외현화문제 우세형이 정서·행동 안정형으로 이동하는 비율이 높았다. 전이 과정에 스마트폰 의존, 친구관계, 스스로 공부, 저성취 여부가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level, type, transition pattern, and influencing variables of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during middle and high school in learners who perceived themselves as low achievers. For this purpose, we used the 3rd and 5th years (2020, 2022) of the 3rd and 5th year of middle school panel data of the ‘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990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3rd and 5th years of the survey (3rd year of middle school and 2nd year of high school). 351 (17.64%) low-achieving students were in middle school and 318 (15.98%) were in high school. According to the results, first, among the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ithdrawal and attention problems were found to be relatively severe. Second, the types of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were classified into five types: emotional and behavioral stability type, externalizing problem dominant type, attention․withdrawal problem dominant type,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 attention type, and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 concern type. Third, smartphone dependence was consistently shown to be a negative factor in all types of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Fourth, there was a high rate of movement between the externalizing problem dominant type and the attention․withdrawal dominant type, and between the emotional and behavioral concern type and the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 attention typ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허유성,김민성. (2023).스스로 저성취로 인식하는 학습자의 중․고등학교 시기 정서․행동문제 유형과 전이양상 및 관련 변인의 영향. 학습장애연구, 20 (3), 33-62

MLA

허유성,김민성. "스스로 저성취로 인식하는 학습자의 중․고등학교 시기 정서․행동문제 유형과 전이양상 및 관련 변인의 영향." 학습장애연구, 20.3(2023): 33-6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