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교학점제 정책에 대한 교사들의 해석

이용수 140

영문명
Teachers’ Interpretations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Policy
발행기관
한국교원교육학회
저자명
김시은 이정민 박규리 소경희
간행물 정보
『한국교원교육연구』제40권 제4호, 25~53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2.31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교사가 교육개혁을 국가의 의도와 다르게 실행하는 까닭은 교사의 의지나 능력이 부족해서가 아니라 정책에 대해 나름의 해석을 만들고 그에 따라 실천하기 때문일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의미-만들기 이론에 기반하여 고교학점제라는 교육개혁 정책에 대해 교사가 형성하는 해석의 다양성과 복잡성을 드러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고교학점제 선도학교 근무 경험이 있는 6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이들이 고교학점제를 어떻게 해석하며, 이들의 해석에 어떤 요인들이 관련되는지를 탐색하였다. 분석 결과, 고교학점제라는 동일한 정책에 대한 교사들의 해석은 각 교사의 ‘개인적 해석 틀’, ‘사회적‧조직적 맥락’에 따라 동의, 수용, 저항, 거부 등으로 조금씩 다르게 나타났다. ‘개인적 해석 틀’ 측면에서, 고교학점제가 교사의 전문적 자기-이해 및 주관적 교육이론에 부합한다고 여기는 교사일수록 그 실행에 더 많은 기대와 열정을 보였다. ‘사회적‧조직적 맥락’ 측면에서는 수업 공유가 활발하고 교사의 수업 활동을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환경에 있는 교사일수록 고교학점제를 자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운영해 나가며 교사로서 자율성을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신이 원하지 않는 수업을 떠맡게 된 교사들은 고교학점제에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교사들의 고교학점제 해석에 있어서 관련 ‘정책 문서’는 별다른 영향력이 없었으며, 이 점은 선행연구에서 살펴본 의미-만들기 과정과는 다소 다른 양상이었다. 교사들은 고교학점제를 어떻게 하면 본인이 처한 상황에 알맞게 해낼 수 있을지에 더 관심을 두었으며, 이 때문에 추진 배경, 방향 등이 수록된 정책 문서에는 큰 관심을 두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정책 설계와 실행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Drawing on sense-making theory,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diversity and complexity of teachers' interpretations of the educational policy called ‘high school credit system.’ Through interviews with six teachers who have worked in leading schools of credit system, the study investigated how they interpreted the policy and what sense-making factors influenced their interpretations.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ir interpretations of the same policy varied depending on their ‘personal interpretative framework’ and ‘social and organizational contexts’, resulting in four distinct categories: agreement, acceptance, resistance, and refusal. Concerning ‘personal interpretative framework’, teachers who found the policy in accord with their professional self-understanding and subjective educational theory demonstrated greater enthusiasm for implementation. Regarding ‘social and organizational contexts’, participants from schools where teachers actively made their classes public and received ample support were more able to autonomously implement the policy in the way they found desirable. However, teachers who were assigned unexpected or unwanted classes expressed skepticism toward the policy. Unlike previous studies, our findings showed that policy documents did not significantly impact teachers' interpretations. Teachers paid little attention to the policy documents, which emphasized policy rationale, as they prioritized adapting the policy to their context rather than rigidly adhering to its intention. Considering these findings, this study discusses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policy design and implement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시은,이정민,박규리,소경희. (2023).고교학점제 정책에 대한 교사들의 해석. 한국교원교육연구, 40 (4), 25-53

MLA

김시은,이정민,박규리,소경희. "고교학점제 정책에 대한 교사들의 해석." 한국교원교육연구, 40.4(2023): 25-5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