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 후기 지식인의 ‘중국 동국기사류(東國記事類) 서목’ 편찬 -이덕무(李德懋)․한치윤(韓致奫)․이규경(李圭景)의 경우를 중심으로-

이용수 27

영문명
Compilation of the Chinese Dongkuk Gisa Book Lists by Intellectuals in the Late Joseon Dynasty -Focusing on Lee Deok-moo, Han Chi-yoon, and Lee Kyu-kyung-
발행기관
국문학회
저자명
김려화
간행물 정보
『국문학연구』제48호, 237~262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1.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조선 후기 지식인이 편찬한 세 개의 중국 동국기사류 서목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이덕무(李德懋)의 <화인기동사(華人記東事)>, 한치윤(韓致奫)의 <동국기사(東國記事)>, 이규경(李圭景)의 <중원기동사(中原記東事)>에는 역대 중국 지식인들이 편찬한 한반도 관련 전문 저서를 수록하였다. 이덕무의 <화인기동사>에는 22종 서적을 수록하였고 한치윤의 <동국기사>에는 59종 서적을 수집하였다. 이규경의 <중원기동사>에는 23종 서적을 수록하였으며 이덕무의 서목 내용을 거의 그대로 계승한 것이다. 이러한 서목에 수록한 문헌을 다시 세분하면 한반도 국기(國記), 행정록(行程錄)․견문록(見聞錄), 한반도 전제(典製) 관련 저서, 군사지기(軍事志記), 시문집, 역사서 등 여섯 종류가 확인된다. 그리고 기술(記述) 체계를 보면, 이덕무의 서목은 조선 중심적인 기술 체계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한치윤과 이규경의 서목은 조선 중심적 기술 체계를 넘어서서 자국에 대한 인식을 동아시아 한자 문명권에서 객관화하려는 노력을 보여주었으며 객관적 기술 체계에 속한다고 할 수 있겠다. 이 세 개의 서목을 통해 조선 후기 지식인들이 자국에 대한 객관적 기술 체계를 구축해 나가는 과정을 엿볼 수 있었다. 한편 조선 지식인들이 작성한 중국 동국기사류 서목은 그들의 자타인식을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이자 중국의 한국학 성립의 연원을 탐구하게 할 수 있는 자료로 평가하겠다.

영문 초록

This paper focused on three Chinese Dongkuk Gisa book lists compiled by intellectuals in the late Joseon Dynasty. Lee Deok-moo(李德懋)’s Hwaingi Dongsa(華人記東事), Han Chi-yoon(韓致奫)’s Dongguk Gisa(東國記事) and Lee Kyu-kyung(李圭景)’s Jungwon Gi Dongsa(中原記東事) contain specialized books on the Korean Peninsula compiled by Chinese intellectuals. Lee Deok-moo’s Hwaingigidongsa contained 22 kinds of books, and Han Chi-yoon’s Dongguk Gisa collected 59 kinds of books. Lee Kyu-kyung’s Jungwon Gi Dongsa contained 23 kinds of books and inherited the contents of Lee Deok-moo’s books. Re-segmenting the literature contained in these books identifies the types of Korean Peninsula encyclopedia, administrative records and observations, books related to the institution of the Korean Peninsula, books on the art of war, poetry collections, and history books. And if you look at the narrative system, it can be said that Lee Deok-moo’s book list belongs to the Joseon-centered narrative system. Han Chi-yoon and Lee Kyu-kyung’s book list showed efforts to objectify their perception of their country in the East Asian Chinese character civilization beyond the Joseon-centered narrative system and can be said to belong to an objective narrative system. Through these three book lists, it was possible to see the process of intellectuals in the late Joseon Dynasty building an objective narrative system for their country. On the other hand, the collection of Chinese Dongkuk Gisa book lists written by Joseon intellectuals will be evaluated as valuable data showing their own perception and data that can help us explore the origin of the establishment of Korean studies in China.

목차

Ⅰ. 서론
Ⅱ. 조선에서 편찬된 중국 동국기사류 서목
Ⅲ. 중국 동국기사류 서목의 특징
Ⅳ. 타자인식과 한국학 연원 ― 결론을 대신하여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려화. (2023).조선 후기 지식인의 ‘중국 동국기사류(東國記事類) 서목’ 편찬 -이덕무(李德懋)․한치윤(韓致奫)․이규경(李圭景)의 경우를 중심으로-. 국문학연구, (), 237-262

MLA

김려화. "조선 후기 지식인의 ‘중국 동국기사류(東國記事類) 서목’ 편찬 -이덕무(李德懋)․한치윤(韓致奫)․이규경(李圭景)의 경우를 중심으로-." 국문학연구, (2023): 237-26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