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노인의 인지기능과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구강건강관련 요인의 매개효과
이용수 91
- 영문명
- Mediating Effect of Oral Health-Related Factor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Function and Life Satisfaction in Older Adults
- 발행기관
- 대한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차선아 홍익표
- 간행물 정보
- 『대한작업치료학회지』제31권 제3호, 125~143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노인들의 인지기능과 삶의 만족도간의 관계에서 노인구강건강요인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 8차 고령화연구패널조사(2020년)에 수집된 60세 이상의 중고령자 6,169명을 대상으로 분석하 였다. 노인구강건강 요인은 노인구강건강평가지수(Geriatric Oral Health Assessment Index; GOHAI)의 기능적 차원 요인, 심리사회적 차원 요인, 통증 및 불편함 요인으로 세분화하였고 각 요인의 매개효과를 Mplus 8.4를 활용하여 경로분석을 수행하였다.
결과 : 6,169명의 평균 연령은 70.77세였다. 인지기능과 삶의 만족도 사이에서 노인구강건강 요인 중 구강건강관련 기능적 차원 요인(β = 0.207, 95% Confidence Interval; CI = 0.169, 0.207)이 23%로 가장 큰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났다. 심리사회적 차원 요인은 22%(β = 0.202, 95% CI = 0.171, 0.236), 통증 및 불편함 요인은 16%(β = 0.146, 95% CI = 0.119, 0.175)로 기술한 순으로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결론 : 인지기능과 삶의 만족도 사이에 구강건강 관련 기능적 차원 요인, 심리사회적 차원 요인, 통증 및 불편함 요인이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노인의 인지수준을 고려하고,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구강건강 요인을 세분화하여 파악한 결과를 통해 개개인의 맞춤형 재활치료 접근 전략을 세우고 노인의 삶의 만족도를 높일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oral health fact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function and life satisfaction in the elderly. Methods: This study analyzed 6,169 elderly people aged 60 years or older described in the 8th Korean Longitudinal Study on Aging (2020). The oral health factors of the elderly were divided into 'functional dimension factors,' 'psychosocial dimension factors,' and 'pain or discomfort factors' of the Geriatric Oral Health Assessment Index (GOHAI). To determine the mediating effect of each factor, a path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Mplus 8.4. Results: Between cognitive function and life satisfaction, among the oral health factors in the elderly, the functional dimension factor showed the largest partial mediating effect at 23% (β = 0.207, 95% confidence interval; CI = 0.169, 0.207). The psychosocial dimension factor was 22% (β = 0.202, 95% CI = 0.171, 0.236), and the pain and discomfort factor was 16% (β = 0.146, 95% CI = 0.119, 0.175), showing a partial mediating effect. Conclusions: The influence of three oral health-related factors on cognitive function and life satisfaction was confirm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cognitive level of the elderly and identify oral health factors in detail.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personalized rehabilitation treatment access strategy and increase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데이터
2. 연구 대상자
3. 연구 도구
4. 연구모형
5. 통계분석
Ⅲ. 연구 결과
1. 일반적 특성
2. 인지기능과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구강건강관련 기능적 차원 요인의 매개효과
3. 인지기능과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구강건강관련 심리사회적 차원 요인의 매개효과
4. 인지기능과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구강건강관련 통증 및 불편감 요인의 매개효과
Ⅳ. 고찰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치매 노인의 인지 수준과 행동심리증상 간 관계에서 일상생활활동 의존도의 매개효과
- 인지재활에서 고기능 인지 평가도구 사용에 관한 문헌고찰 : 집행기능을 중심으로
-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향상을 위한 몰입형 가상현실과 비몰입형 가상현실 중재효과
- 노인의 인지기능과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구강건강관련 요인의 매개효과
- 발달장애인의 도전적 행동(Challenging Behavior) 완화를 위한 작업치료 중재에 대한 체계적 고찰
- 가족 간병인을 대상으로 한 역량강화 프로그램에 대한 체계적 고찰
- 고령자의 사회적 건강 변화궤적에 대한 잠재계층분류와 예측요인 : 성장혼합모형(Growth Mixture Model)을 중심으로
-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근무환경이 작업치료사의 직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작업치료학과 학생들의 방문재활 실습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 간호대학생의 인공지능 활용 간호수행 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국내 의료기관의 환자안전사고 관련 요인 분석: 2019-2022년 환자안전보고 데이터 활용 이차분석 연구
- 지역사회 인지저하 전·후기 노인의 건강 및 돌봄 요구 실태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