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인지재활에서 고기능 인지 평가도구 사용에 관한 문헌고찰 : 집행기능을 중심으로

이용수 27

영문명
A Review of High Functional Cognitive Assessment Tools in Cognitivie Rehabilitation : Focused on Executive Functions
발행기관
대한작업치료학회
저자명
한예빈 임영명 박지혁
간행물 정보
『대한작업치료학회지』제31권 제3호, 29~45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의약학 > 의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9.30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고기능 인지 평가도구의 사용 빈도 및 시행방법, 평가영역, 인지 요소에 따른 분석을 시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17년도 1월부터 2022년도까지 12월까지 Web of Science(WoS), CINAHL, Pubmed, MEDLINE 데이터베이스에 게재된 문헌 중 선정기준에 적합한 논문 45편에서 추출된 9개의 평가도구의 출현 빈도수, 대상자, 평가 시행 방법, 평가영역을 분석하였다. 결과 : 가장 많이 사용되는 고기능 인지 평가도구는 Behavior Rating Inventory of Executive Function(BRIEF) 로 확인되었다. 평가도구 사용 대상자 분석 결과, 뇌성마비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평가도구의 영역은 대부분 과제 수행형 평가(task performance assessment)였다. Frontal Systems Behavior Scale(FrSBe), Dysexecutive Questionnaire(DEX), Computerized Neurocognitive Battery(CNB)는 논리적 인지 요소와 함께 사회정서적 인지 요소를 평가하는 영역이 있었으며 일상생활 기반 과제 수행형 평가 (ADL-based task performance)는 Executive Function Performance Test(EFPT)뿐이었다. 평가도 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는 모두 허용할만한 수준이었다. 결론 : 논리적 측면의 ‘Hot Executive Function(EF)’와 감정적 측면의 ‘Cold EF’를 모두 측정하는 평가 도구의 수가 적으며, 집행기능을 일상생활의 과제 수행을 기반으로 하는 평가도구의 수가 제한적임이 나타났다. 보다 넓은 전두엽 영역을 평가하고 재활치료에 있어 중요한 일상생활에서의 독립적 기능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이러한 점을 보완한 고기능 인지 평가도구에 대한 개발 및 연구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conduct an analysis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use, implementation method, and evaluation area of high-functional cognitive assessment tool. Methods: A systematic review of literature published from January 2017 to December 2022 was conducted, and the frequency, subjects, evaluation methods, and evaluation areas of 9 evaluation tools extracted from 45 papers suitable for the selection criteria were analyzed. Results: The most commonly used frontal lobe evaluation tool was identified as BRIEF.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ubjects using the evaluation tool, Cerebral Palsy was the most common subject diagnosis. Most of the evaluation types were task performance assessments. The frontal systems behavior scale (FrSBe), dysexecutive questionnaire (DEX), and computerized neurocognitive battery (CNB) included areas for evaluating emotional and psychosocial cognitive components along with executive functions, and the executive function praxis test (EFPT) was the only ADL-based task performance assessment Most of the assessments were reliable and valid. Conclusion: The number of evaluation tools measuring both 'Hot executive function (EF)' and 'Cold EF' was small, and the number of evaluation tools based on the practice of daily tasks was also limited. Both development and research on a comprehensive frontal lobe function evaluation tool that complements this point are needed to evaluate a wider frontal lobe area and enable independent functions in daily life, which are important for rehabilitation treatmen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설계
2. 자료수집 및 문헌 검색
3. 선정 및 배제기준
4. 분석 방법
Ⅲ. 연구 결과
1. 집행기능 평가도구의 비율
2. 집행기능 평가도구의 특성
Ⅳ. 고찰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예빈,임영명,박지혁. (2023).인지재활에서 고기능 인지 평가도구 사용에 관한 문헌고찰 : 집행기능을 중심으로. 대한작업치료학회지, 31 (3), 29-45

MLA

한예빈,임영명,박지혁. "인지재활에서 고기능 인지 평가도구 사용에 관한 문헌고찰 : 집행기능을 중심으로." 대한작업치료학회지, 31.3(2023): 29-4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