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치매 노인의 인지 수준과 행동심리증상 간 관계에서 일상생활활동 의존도의 매개효과
이용수 24
- 영문명
- The Mediating Effect of Activity of Daily Life Dependence on the Association Between Cognition and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 발행기관
- 대한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정지인 유은영
- 간행물 정보
- 『대한작업치료학회지』제31권 제3호, 61~71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 본 연구에서는 치매 노인의 인지기능, 일상생활활동 의존도와 행동심리증상의 관계 분석 및 일상생활활동 의존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건강보험공단에서 제공하는 노인 코호트 데이터베이스(Database; DB)의 2015년 데이터를 활용하여 이차자료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목적에 따라 2015년 장기요양인정신청자 중 2002~2015년 중 치매 상병코드로 1회 이상 진료를 받고 장기요양인정심사 결과 1~5등급 판정을 받은 자를 선별하였고, 총 12,363명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을 위해 전체 변수에서 인지기능, 행동심리증상, 일상생활활동 의존도를 추출하였다. 세 주요변인 간 연관성과 일상생활활동 의존도의 매개효과 분석을 위하여 경로모형을 수립하고 각 경로의 직접효과와 간접효과 및 전체 모형의 총효과를 산출하였다.
결과 : 경로분석 결과 인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 의존도 간 효과값은 .616(p < .0001), 인지기능과 행동심리증상 간 효과값은 .199(p < .0001), 일상생활활동 의존도와 행동심리증상 간 효과값은 .039(p = .0005)으로 세 경로 모두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다. 세 변수의 경로모형 총효과값은 .223(p < .0001)이 었으며, 간접효과값은 .024(p = .0005)으로 일상생활활동 의존도의 부분매개효과가 존재하였다.
결론 : 본 연구에서 경로모형을 통해 인지기능과 행동심리증상 간의 관계에서 일상생활활동 의존도의 매개 효과를 검증한 결과, 일상생활활동 의존도는 인지기능의 저하가 행동심리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적으로 매개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치매 환자의 행동심리증상 완화를 위해 일상생활활동 기능 증진 프로그램이 유용할 수 있음을 시사하며 본 연구가 중재의 필요성 및 개발의 근거로 사용되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function, dependence on activity of daily life (ADL), and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BPSD) in older adults, an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ADL dependence.
Methods: A secondary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2015 data from an older adult cohort database (DB) provided by the Korea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Those who received a diagnosis of dementia more than once between 2002 and 2015 and had a grade of 1 to 5 in terms of long-term care service were selected. In addition, a total of 12,363 data were used for analysis. Cognitive function, BPSD, and ADL dependence were extracted. A path model was establish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ree major variable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ADL dependence, and the direct effects of each path, the total effect, and indirect effects of the full model were calculated.
Results: As a result of a path analysis, the effect between cognitive function and ADL dependence showed a value of .616 (p < .0001), the effect between cognitive function and BPSD was .199 (p < .0001), and the effect between ADL dependence and BPSD was .039 (p = .0005). The total effect of the path model of the three variables was .223 (p < .0001), and the indirect effect was .024 (p = .0005). In addition, there w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f ADL dependence.
Conclus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f ADL dependence through a path model, the ADL dependence partially mediated the effect of cognitive function on BPSD.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program promoting ADL function may be useful for alleviating the BPSD in people with dementia.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as a basis for the need and development of intervention program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분석자료 및 선정기준
2. 주요 변수
3. 통계분석
Ⅲ. 연구 결과
1. 분석자료의 선별
2. 분석자료의 일반적 특성 및 주요 변수의특성
3. 주요 변수 간 상관관계
4. 주요 변수 간 경로분석
Ⅳ. 고찰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치매 노인의 인지 수준과 행동심리증상 간 관계에서 일상생활활동 의존도의 매개효과
- 인지재활에서 고기능 인지 평가도구 사용에 관한 문헌고찰 : 집행기능을 중심으로
-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향상을 위한 몰입형 가상현실과 비몰입형 가상현실 중재효과
- 노인의 인지기능과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구강건강관련 요인의 매개효과
- 발달장애인의 도전적 행동(Challenging Behavior) 완화를 위한 작업치료 중재에 대한 체계적 고찰
- 가족 간병인을 대상으로 한 역량강화 프로그램에 대한 체계적 고찰
- 고령자의 사회적 건강 변화궤적에 대한 잠재계층분류와 예측요인 : 성장혼합모형(Growth Mixture Model)을 중심으로
-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근무환경이 작업치료사의 직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작업치료학과 학생들의 방문재활 실습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 간호대학생의 인공지능 활용 간호수행 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국내 의료기관의 환자안전사고 관련 요인 분석: 2019-2022년 환자안전보고 데이터 활용 이차분석 연구
- 지역사회 인지저하 전·후기 노인의 건강 및 돌봄 요구 실태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