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가족 간병인을 대상으로 한 역량강화 프로그램에 대한 체계적 고찰
이용수 77
- 영문명
- Systematic Review of Empowerment Programs for Family Caregivers
- 발행기관
- 대한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유상희 홍익표
- 간행물 정보
- 『대한작업치료학회지』제31권 제3호, 89~102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 본 연구에서는 문헌 고찰을 통해 가족 간병인을 대상으로 역량강화 프로그램의 특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방법 : Pubmed, Excerpta Medica Database(Embase)를 사용하여 2013년 1월부터 2023년 5월까지 출판된 논문을 검색하였다. 주요 검색어는 “empowerment program”, “caregiver”, “caregivers”, “family caregiver”를 사용하였고 총 420편 검색 중 최종 5편의 국외 논문을 선정했다. Hierarchy of levels of evidence for evidence-based practice, PEDro Scale을 통해 연구의 질을 평가하였다. 연구의 분석 내용을 제시하기 위해 Patient, Intervention, Comparison, Outcome(PICO)를 사용하였다.
결과 : 선정된 논문의 대상자는 치매, 경도인지장애, 뇌졸중, 다발성 경화증 환자의 간병인이었다. 중재 기간 4일에서 12주 동안 가족 간병인에게 교육, 상담, 토론 등을 진행하였고 우울, 삶의 질, 간병 부담, 간병 태도, 자기효능감 등의 영역에서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결론 : 본 연구에서는 성인, 노인 만성 질환자의 가족 간병인을 대상으로 한 역량강화 프로그램 중재가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이는 가족 간병인에 대한 중재 프로그램 임상 활용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정보 제공 및 근거를 마련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empowerment programs for family caregivers through a literature review.
Methods: PubMed and Embase were used to search for papers published between January 2013 and May 2023. The main search terms included 'empowerment program,' 'caregiver,' 'caregivers,' and 'family caregiver.' Out of 420 search results, 5 foreign papers were selected using the evidence-level hierarchy for evidence-based practice and PEDro scale. An analysis of the studies was presented using the PICO framework.
Results: The subjects of the selected paper were caregivers of patients with dementia, mild cognitive impairment, stroke, and multiple sclerosis. Over a period of 4 days to 12 weeks, education, counseling, and discussions were provided to family caregivers. Intervention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areas such as depression, quality of life, caregiving burden, caregiving attitude, and self-efficacy.
Conclusion: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an intervention of a empowerment program for family caregivers of chronic patients in adults and the elderly was effective. The results provide information and grounds for clinical use of intervention programs for family caregivers as well as further research.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검색 방법 및 분석대상
2. 분석 대상 연구의 질적 수준
3. 대상 연구의 방법론적 질 평가
4. 분석 대상 연구의 근거 분석 및 제시방법
Ⅲ. 연구 결과
1. 분석 대상 연구의 질적 수준
2. 대상 연구의 방법론적 질 평가
3.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4. 중재 방법에 대한 분석
Ⅳ. 고찰
Ⅴ.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치매 노인의 인지 수준과 행동심리증상 간 관계에서 일상생활활동 의존도의 매개효과
- 인지재활에서 고기능 인지 평가도구 사용에 관한 문헌고찰 : 집행기능을 중심으로
-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향상을 위한 몰입형 가상현실과 비몰입형 가상현실 중재효과
- 노인의 인지기능과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구강건강관련 요인의 매개효과
- 발달장애인의 도전적 행동(Challenging Behavior) 완화를 위한 작업치료 중재에 대한 체계적 고찰
- 가족 간병인을 대상으로 한 역량강화 프로그램에 대한 체계적 고찰
- 고령자의 사회적 건강 변화궤적에 대한 잠재계층분류와 예측요인 : 성장혼합모형(Growth Mixture Model)을 중심으로
-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근무환경이 작업치료사의 직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작업치료학과 학생들의 방문재활 실습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 간호대학생의 인공지능 활용 간호수행 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국내 의료기관의 환자안전사고 관련 요인 분석: 2019-2022년 환자안전보고 데이터 활용 이차분석 연구
- 지역사회 인지저하 전·후기 노인의 건강 및 돌봄 요구 실태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