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향상을 위한 몰입형 가상현실과 비몰입형 가상현실 중재효과
이용수 26
- 영문명
- The Effect of Immersive and Non-immersive Virtual Reality Intervention on Upper Limb Function in Persons With Chronic Stroke
- 발행기관
- 대한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한솔 유은영 김종배 박지혁
- 간행물 정보
- 『대한작업치료학회지』제31권 제3호, 1~13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몰입형 가상현실과 비몰입형 가상현실 두 가지 형태의 가상현실 기기를 이용한 중재가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 대상은 뇌졸중 발병 후 6개월 이상인 편마비 환자 3명이었다. 연구설계는 단일대상실험연구(single-subject research design)인 AB 디자인과 교차 연구설계(alternating design)를 사용하였다. 중재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상지기능 평가는 Box and Block Test와 Fugl-Myer Assessment를 사용하였고, 연구진행은 기초선 4회, 중재 기간 16회를 포함하여 총 20회기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는 시각적 그래프와 2SD 구간을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연구결과는 비몰입형과 몰입형 가상현실 중재법 모두 기초선과 비교하여 Box and Block Test, Fugl-Myer Assessment 점수가 확연히 증가하였다. 그러나 비몰입형 가상현실 중재와 몰입형 가상현실 중재 간의 의미있는 차이는 발견할 수 없었다.
결론 : 본 연구는 몰입형 가상현실을 이용한 중재가 비몰입형 가상현실을 이용한 중재와 같이 만성 뇌졸중 대상자의 상지기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줄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만성 뇌졸중 대상자들의 상지기능 향상을 목표로 하는 임상현장에서 가상현실 중재와 연구에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라 사료된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tervention using immersive and non-immersive virtual reality devices on the improvement of the upper limb function in 3 participants with chronic stroke.
Methods: The design used a combination of an AB design and an alternating design to compare the effects of both intervention types based on a single-subject research design.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the upper limb functions, and BBT and FMA were applied as the evaluation tools. The study consisted of 20 sessions given during a total of 7 weeks including four sessions of a baseline period and 16 sessions of an intervention period.
Results: As the results indicate, it was first confirmed that virtual reality interven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improvements of the upper limb function of chronic stroke patients. All dependent variables measured during the intervention period exceeded the 2SD interval of the measured value during the baseline period.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non-immersive virtual reality intervention and immersive virtual reality interventio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intervention using immersive and non-immersive virtual reality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improvements of upper limb function of chronic stroke subjec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설계
3. 연구도구
4. 연구과정
5. 연구분석
Ⅲ. 연구 결과
1. BBT 점수의 변화
2. FMA 점수의 변화
Ⅳ. 고찰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치매 노인의 인지 수준과 행동심리증상 간 관계에서 일상생활활동 의존도의 매개효과
- 인지재활에서 고기능 인지 평가도구 사용에 관한 문헌고찰 : 집행기능을 중심으로
-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향상을 위한 몰입형 가상현실과 비몰입형 가상현실 중재효과
- 노인의 인지기능과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구강건강관련 요인의 매개효과
- 발달장애인의 도전적 행동(Challenging Behavior) 완화를 위한 작업치료 중재에 대한 체계적 고찰
- 가족 간병인을 대상으로 한 역량강화 프로그램에 대한 체계적 고찰
- 고령자의 사회적 건강 변화궤적에 대한 잠재계층분류와 예측요인 : 성장혼합모형(Growth Mixture Model)을 중심으로
-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근무환경이 작업치료사의 직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작업치료학과 학생들의 방문재활 실습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 간호대학생의 인공지능 활용 간호수행 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국내 의료기관의 환자안전사고 관련 요인 분석: 2019-2022년 환자안전보고 데이터 활용 이차분석 연구
- 지역사회 인지저하 전·후기 노인의 건강 및 돌봄 요구 실태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