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유아 행복 관련 학술연구 동향 분석
이용수 46
- 영문명
- Research trends related young children’s happiness through keyword network analysis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 저자명
- 채영문 이성주
- 간행물 정보
- 『한국유아교육연구』제25권 제3호, 202~220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유아 행복 관련 학술연구의 동향을 분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에서 유아를 대상으로 한 국내 행복 관련 학술논문을 수집하였다. ‘유아 행복’ 키워드로 검색을 통해 수집한 184편의 국내 학술연구에서 키워드를 추출하고, 기준에 따라 정제하였으며, Excel, Krkwic, DBF 뷰어, UCINET 6 프로그램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 행복 관련 학술연구의 발간 현황을 분석한 결과 2008년부터 2023년 5월까지 184편의 학술연구가 이루어졌으며, 키워드 빈도는 검색어인 ‘유아’, ‘행복’, ‘유아행복’을 제외하면, ‘자아존중감’, ‘자아탄력성’, ‘정서지능’ 순으로 많이 나타났다. 둘째, 유아 행복 관련 학술연구의 키워드는 ‘행복’, ‘유아’, ‘유아행복’을 중심으로 상호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었다. 또한, 중심성 분석 결과, 키워드 빈도분석과 마찬가지로 ‘자아존중감’, ‘자아탄력성’, ‘정서지능’, ‘매개효과’, ‘어머니양육효능감’, ‘또래유능성’ 등의 키워드가 공통적으로 10위권 내에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유아 행복 관련 학술연구의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유아 대상 행복 연구의 현황을 파악하고, 앞으로의 연구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 의의를 갖는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rends in academic research related to children's happiness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For this purpose, domestic academic papers on happiness in young children were collected from the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A total of 184 papers were gathered through a search using the keyword ‘children's happiness’. The collected keywords were refined based on specific criteria, and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Excel, Krkwic, DBF Viewer, and UCINET 6 program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analysis of the publication status of academic studies related to children's happiness revealed that 184 academic papers were conducted from 2008 to May 2023. The most frequently appearing keywords, excluding the search terms ‘young children’, ‘happiness’, and ‘children's happiness’, were subsequently ‘self-esteem’, ‘ego-resilience’, and ‘emotional intelligence’ in order. Secondly, the keywords in academic research related to children's happiness were closely interconnected around the central themes of ‘happiness’, ‘young children’, and ‘children's happiness’. Additionally, the centrality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keywords like ‘self-esteem’, ‘ego-resilience’, ‘emotional intelligence’, ‘mother rearing efficacy’, ‘peer competency’, and ‘mediating effect’ were commonly within the 10 rank, similar to that of the keyword frequency analysis. This study is meaningful as it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f academic research on children's happiness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and provides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directions in the field of happiness research concerning young childre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유아 행복 관련 학술연구 동향 분석
- 지속가능한 식생활을 실천한 워싱턴반의 경험과 변화
- 유치원 실외공간에 대한 교사의 장소감
-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위험감수놀이에 대한 인식 연구
- 유아교육기관 조직문화 연구 관련 변인 동향 분석
- 어머니의 놀이참여도가 유아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 빌 코터(Bill Cotter)의 「절대 누르면 안 돼!」와 「절대 만지면 안 돼!」의 그림책 물질성 읽기
- 교사의 놀이성, 놀이교수효능감, 교수창의성, 교사-유아 상호작용간의 구조적 관계
- 가정문해환경과 출현적 문해력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유아 문해상호작용과 유아 문해흥미의 순차적 매개효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