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중등 교사의 교권침해 경험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이용수 335

영문명
A Qualitative Meta-Synthesi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Teachers' Experiences of Infringement on Teachers’ Rights
발행기관
한국교원교육학회
저자명
허은정
간행물 정보
『한국교원교육연구』제40권 제3호, 31~59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9.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질적 메타분석을 활용하여 초․중등교사의 교권침해 경험에 대한 종합적인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포함과 배제의 기준을 사용하여 초․중등교사의 교권침해에 대한 직접 경험을 다룬 질적 연구 9건(한국연구재단 등재학술지 6건, 국내박사학위논문 3건)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분석 과정에서 도출된 주제 및 하위 주제는 브론펜브레너의 생태체계이론의 체계 구분과 깊이 관련되며, 이를 적용하여 개인(미시체계), 학교(중간체계), 인접 환경(외체계), 신념과 가정(거시체계)의 4개 차원에 대한 ‘맥락’과 ‘작용’으로 분석틀을 정교화 하였다. 연구 결과, 개인 차원의 맥락은 ‘개인 특성과 가정배경’으로 성격과 가치관, 성별,고용조건과 경력, 가족의 지지 및 가정 내 역할이 교권침해 경험과 관련하여 작용하였고, 학교차원의 맥락은 ‘학교문화의 양가성’으로 관리자․동료교사․학부모․학교 내 시스템의 양가적 작용이 일어남을 확인하였다. 인접 환경 맥락은 ‘유관 기관과 제도’로서 교육청, 법과 제도, 직업세계, 이익단체 및 언론, 기타 교육정책이 교권침해와 관련하여 대체로 부정적 작용을 하는 것으로 인식되었다. 마지막 신념과 가정 맥락에서는 ‘선(善)으로서의 교사’를 상정하고 교권침해 피해교사를 도덕적 성찰로 이끌거나, 혼자 감당하기 또는 죄책감 부여의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교권침해 피해교사의 경험은 교사 개인, 교사가 속한 학교, 인접 환경, 그리고 신념 체계라는 다차원의 복합적 작용으로 설명된다. 둘째, 교사를 둘러싼 각 차원은 피해 교사가 교권침해 경험을 극복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맥락으로서 작용한다. 셋째, 교사를 절대 선으로 보는 신념체계는 개인과 학교, 유관기관과 제도라는 각각의 맥락이 작용하는 데 전제가 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comprehensive implications on elementary and secondary teachers' experiences of infringement on teachers’ rights through a qualitative meta-synthesis. Nine qualitative studies dealt with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direct experiences of infringement on teachers’ rights were selected for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themes and subtopics derived from the analysis process were very similar to the classification of Bronfenbrenner's ecological system theory. By applying this, the analysis framework was divided into four dimensions: the individual (microsystem), school (mesosystem), surrounding environment (exosystem), and beliefs and assumptions (macrosystem). And each dimension was elaborated into 'context' and 'ac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individual-level context was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family background', in which personality/values, gender, employment conditions, career, family support and so on. The school-level context was 'ambivalence of school culture'; it was confirmed that the ambivalent actions of administrators, fellow teachers, parents, and the school system occurred. The context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was 'relevant institutions and systems'; Office of Education, laws and systems, the world of work, interest groups and media, and other educational policies were perceived as having a largely negative effects on infringement on teachers’ rights. Lastly, in the context of beliefs and assumptions, the perception of teachers as good beings led the teachers victimized by teachers’ rights infringement to having moral reflection, bearing it alone, or feeling guilty. By synthesizing these results, the following implications were derived. First, the experience of infringement on teachers’ rights is explained as a multi-dimensional combination of the individual teacher, the school the teacher works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the belief system. Second, each dimension surrounding teachers acts as an influencing factor for overcoming the experience of infringement on teachers’ rights. Third, the belief system that regards teachers as absolute good beings influences the other three dimensions.

목차

Ⅰ. 서론
Ⅱ. 교권침해의 개념과 연구 동향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허은정. (2023).초․중등 교사의 교권침해 경험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40 (3), 31-59

MLA

허은정. "초․중등 교사의 교권침해 경험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40.3(2023): 31-5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