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수용전념치료(ACT) 관점에서 본 발표불안 경험 : 자서전적 내러티브

이용수 2

영문명
Public Speaking Anxiety Experience from an ACT Perspective: An Autobiographical Narrative
발행기관
한국명상심리상담학회
저자명
권주희
간행물 정보
『명상심리상담(구 명상치료연구)』제22권, 71~80쪽, 전체 1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2.31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수용전념치료 관점에서 본 발표불안 경험에 대한 자서전적 내러티브 연구이다. 자서전적 내러티브는 ‘이야기하기’와 그 원인과 맥락을 재구성하는 ‘다시 이야기하기’로 구성한다. 이야기하기는 발표 불안이 생기게 된 최초의 사건을 시작으로 발표불안 경험을 어떻게 경험하고 있는지를 다루며, 다시 이야기하기는 이 사례를 중심으로 수용전념치료의 기본 개념인 경험적 회피(Experiential avoidance), 인지적 융합(Cognitive fusion), 개념적 자기(Conceptualized self) 세가지의 관점을 통해 불안 증상을 이해하였다. 그 결과 경험적 회피는 신체 느낌에서의 불편감을 회피하는 형태로, 인지적 융합은 바깥 대상에 대한 환경을 과도하게 위협적인 것으로 지각했으며, 자신에 대해 ‘나는 잘하지 못하는 사람이다’의 과소평가된 개념적 자기에서 발표불안이 발생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발표 불안의 발생과 전개 방식을 신체증상 발생, 회피 행동의 두 단계로 나눠 발표 불안의 과정을 밝히고, 불안이 발생하게 된 원인을 가족, 사회적 맥락 중심으로 조명해본다. 이를 통해서 새로운 삶을 살아가기 위한 대처방안을 모색해본다.

영문 초록

This paper is an autobiographical narrative study of the experience of public speaking anxiety Experience from the perspective of Acceptance Commitment Therapy. The autobiographical narrative consists of 'storytelling' and 'retelling story' which reconstructs its cause and context. Storytelling deals with how an experienced anxiety experience is experienced, starting with the first event that causes anxiety, and retelling story, based on this case, is the basis of experiential avoidance, cognitive fusion, conceptualized self, which are the basic concepts of the Acceptance Commitment Therapy. Anxiety symptoms were understood through three perspectives. As a result, empirical avoidance is a form of avoiding discomfort in the body's feelings, and cognitive fusion perceives the environment as an overly threatening environment for the external object, and underestimated the concept of 'I am not good at myself'. I could see that anxiety occurred in myself. This course divides the presentation and development of public speaking anxiety into two stages of physical symptoms and avoidance behaviors. The process of public speaking is revealed and the causes of anxiety are focused on family and social contexts. Through this, we will look for ways to cope with new life.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권주희. (2019).수용전념치료(ACT) 관점에서 본 발표불안 경험 : 자서전적 내러티브. 명상심리상담(구 명상치료연구), (), 71-80

MLA

권주희. "수용전념치료(ACT) 관점에서 본 발표불안 경험 : 자서전적 내러티브." 명상심리상담(구 명상치료연구), (2019): 71-8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