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MFCT 영상관법: 염지관 명상과 자비 소통 -명상에 기반한 감정코칭 전문가(MFCT) 훈련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이용수 4

영문명
MFCT Reflected Image Meditation: Yeomjikan[念止觀] Meditation and Compassion Communication
발행기관
한국명상심리상담학회
저자명
김형록(인경스님)
간행물 정보
『명상심리상담(구 명상치료연구)』제22권, 1~21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2.31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넓은 관점에서 보면 알아차림 명상과 자비수행의 관계를 탐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알아차림 명상은 지혜의 길이라면, 자비수행은 선정수행에 포함한다. 심리학적인 측면에서 보면 알아차림 명상이 보다 인지적인 관점이라면 자비수행에 의한 선정은 정서적인 안정을 함축한다. 본고의 연구문제는 MFCT 훈련프로그램 참여자가 스트레스 감정반응의 세 가지 유형에 따라서, ‘영상관법을 통해서 염지관명상과 자비소통을 어떻게 경험하는가?’와 ‘염지관 명상과 자비소통의 효과성 비교할 때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하는 것이다. 본 연구방법은 MFCT 훈련프로그램에 참여한 총 25명 가운데 6명을 대상으로 자료 분석을 진행하였다. 가급적이면 자연 상태에서 경험을 그대로 수집하여 분석하는 질적 연구방법론을 선택하였다. 연구결과는 명상과 자비의 소통은 상호보완적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스트레스 유형에 따라서 명상과 소통의 방식에서 서로 다른 차이점도 발견되었다. 전체적으로는 명상은 문제를 명확하게 인식하고 통찰하는데 도움을 주었다면, 자비소통은 현실 속에서 어떻게 해결해야 하는 대안을 찾는데 유용했음을 보고하였다. 앞으로 과제는 스트레스 유형별로 체크리스트 개발과 함께 보다 일반화 작업을 위해서 통계적인 양적 연구와 더불어서, 후속연구로서 임상적인 실험연구가 진행되기를 기대하여 본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mindfulness meditation and compassionate practice from a broad perspective. If mindfulness meditation is the path of wisdom, compassion is included in the contemplation. From the psychological point of view, if mindfulness meditation is a more cognitive point of view, contemplation by compassion implies emotional stability. This study is based on the three types of stress emotional reactions of participants in the MFCT training program, comparing the effects of mindfulness meditation and compassion through visual observation and the effectiveness of meditation and compassion communication. What's the difference? ‘ Methods, This study conducted data analysis on 6 of 25 participants in the MFCT training program. As much as possible,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that collects and analyzes experiences in nature is selected. Results, The findings confirm that communication between meditation and compassion is complementary. Especially, if meditation helped to clearly recognize and understand the problem, depending on the type of stress, how should compassion communication be resolved in reality? It has been reported to be useful in finding alternatives. Conclusion In the future, we expect to develop a checklist for each type of stress and to conduct a clinical experimental study as a follow-up study as well as a statistical quantitative study for a more generalized work.

목차

Ⅰ. 머리말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형록(인경스님). (2019).MFCT 영상관법: 염지관 명상과 자비 소통 -명상에 기반한 감정코칭 전문가(MFCT) 훈련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명상심리상담(구 명상치료연구), (), 1-21

MLA

김형록(인경스님). "MFCT 영상관법: 염지관 명상과 자비 소통 -명상에 기반한 감정코칭 전문가(MFCT) 훈련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명상심리상담(구 명상치료연구), (2019): 1-2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