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삼국유사』설화를 활용한 유아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이용수 47
- 영문명
- Developing and applying an early childhood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Utilizing the tale of Samgukyusa
- 발행기관
- 한국다문화교육학회
- 저자명
- 김정선 권은주
- 간행물 정보
- 『다문화교육연구』제11권 제2호, 85~103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6.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삼국유사』설화를 활용하여 유아들을 위한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또한 다문화 인식을 증진시키는 데 있어서 이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려고 한다. 우선, 이 논문은『삼국유사』에 대한 이전의 연구들을 분석하여 다문화와 다문화 교육에 관련된 요소들을 찾고자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이 프로그램의 목적 설정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이러한『삼국유사』설화를 활용한 프로그램은 몇몇 교육 전문가들과의 협의를 통하여 개발에 이르렀다. 다음, 이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한 유치원의 5세 아동 30명에게 프로그램이 실행되었다. 아동들은 10주에 걸쳐 15차시의 수업을 받았다. 데이터는 독립표본 T 검정과 대응 표본 T 검정을 통해 처리되었다. 이 결과는 유아들을 위한 다문화 프로그램이 다문화 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제시했다. 이 결과는 또한 유아들의 다문화 인식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이 프로그램이 유아들에게 실행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utilizing the folk tales of Samgukyusa, and tries to verify the effect of the program on promoting ‘the understanding on the multi-culturalism. First, this paper analyzed previous studies on Samgukyusa to find the elements of the multi-culturalism and the multi-cultural education. This analysis made it possible to set the goal of the program. And then, the program utilizing the folk tales of Samgukuyusa is developed through some discussion of several education professionals. Second, the program was practiced to thirty 5-year-old children in a kindergarten to verify the effect of the program. They had 15 classes within 10 weeks.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the paired sample t-test. This analysis suggested that the multi-cultural program for young children had a meaningful effect on multi-culturalism. It also implied that this program could be implemented for young children to improve their understanding on multi-culturalism.
목차
Ⅰ. 서론
Ⅱ. 『삼국유사』설화를 활용한 유아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Ⅲ. 『삼국유사』설화를 활용한 유아 다문화교육프로그램 적용 및 효과 검증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사립대학의 대학성과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유형의 전이 양상 및 재정요인 분석
- 대안교육시설 학습자에 대한 재정지원 방안: 보통교부금의 적용가능성 검토와 대안 제시
- 국가경쟁력 세계 10위권 도약을 위한 중장기 고등교육 투자 목표와 확충 전략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