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의 다문화교육정책 문서에 나타난 다문화교육 성격의 변화 양상 분석
이용수 277
- 영문명
- A study on changes of the nature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n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documents
- 발행기관
- 한국다문화교육학회
- 저자명
- 김한길 소경희
- 간행물 정보
- 『다문화교육연구』제11권 제2호, 59~83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6.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지난 11년간 국가 수준의 문서에서 다문화교육 성격이 어떻게 변해왔는지 비판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06년부터 2016년까지 교육부의 다문화교육정책 문서를 대상으로 다문화교육의 대상, 목표, 내용 측면에서 질적인 내용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에서는 다문화교육정책이 발표된 첫 해를 제외하고는 기존의 한국 학생과 다른 문화적 배경을 지닌 학생 모두를 다문화교육의 대상으로 설정해왔으나, 이들 학생들을 지칭하는 방식에 있어서는 한계를 드러냈다. 둘째, 우리나라 다문화교육정책은 다문화교육의 목표로서 다른 문화적 배경의 학생들에게 교육적 성취에서 소외되지 않도록 다양한 교육기회를 제공하는 것에 강조점을 두어온 반면, 이들이 지닌 다양한 언어·문화적 배경을 존중하는 측면이 비중있게 다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셋째, 우리나라 다문화교육의 내용으로는 한국에 대한 이해와 다문화에 대한 인정이 다문화교육정책의 초기부터 지속적으로 다루어져왔으며, 2010년 전후로 해서는 교육적 성장에 관한 내용이 비중있게 다루어졌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diachronically understand how the nature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national-level documents had changed from 2006 to 2016.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documents written from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terms of the target, objective and content of multicultural education by using 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Korean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had included “students from diverse cultures” and “existing Korean students” for the past 11 years except for 2006. However, the policy had consistently had a limitation about how students were labeled. Secondly, as for the objectives, the policy had increasingly focused on supporting educational achievement of students from diverse cultures while objectives about the diverse cultural and linguistic backgrounds had increasingly disappeared. Thirdly, regarding the contents, the policy had consistently emphasized “understanding about Korea” and “recognition for diverse cultures” since 2006. Also, the policy began to emphasized “educational growth” since 2010.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다문화교육정책에 나타난 다문화교육의 흐름과 특징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