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결혼이주여성의 사회 참여 활동이 결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매개변인으로
이용수 4
- 영문명
- Effects of married migrant women's social participation upon marital satisfaction: Mediating variable of acculturative stress
- 발행기관
- 한국다문화교육학회
- 저자명
- 이창운 정명희
- 간행물 정보
- 『다문화교육연구』제10권 제2호, 171~19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6.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참여활동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문화적응스트레스를 매개변인으로 하여 알아보려는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서울특별시와 경기도 내에 거주하는 364명의 결혼이주여성들을 대상으로 하여 2016년 12월 20일부터 2017년 1월 26일까지 38일 동안 구조화된 설문지를 배부하여 응답받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통계적 자료의 분석은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참여활동, 문화적응스트레스 및 결혼만족도를 측정하는 검사도구들의 내적타당도를 높이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뒤 신뢰도 계수(Cronbach's ⍺)를 산출하여 내적 일관성을 분석하였고, 사회참여활동, 문화적응스트레스 및 결혼만족도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사회참여활동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문화적응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Baron과 Kenny(1986)의 3단계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Sobel Test로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참여활동이 결혼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사회참여활동이 문화적응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참여활동과 문화적응스트레스를 동시에 투입하였을 때 사회참여활동과 문화적응스트레스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사회참여활동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문화적응스트레스가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참여활동과 문화적응스트레스의 탐색적인 분석을 통해 다문화가정의 이혼을 줄이고 행복한 결혼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 의의를 가진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effects of married migrant women's social activity participation with mediating variable of acculturative stress. The subject was 364 married migrant women at Seoul and Gyeonggi-do. The respondents were given questionnaire to answer for 38 days from December 20, 2016 to January 26, 2017. SPSS 23.0 was use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done to increase internal appropriateness, and Cronbach's α was used to investigate internal consistency,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done to investigate relation between participation in the society, cultural adaptation stress and marital satisfaction. Three stage regression was used to investigate mediating effect of cultural adaptation stress at the effect of social activity participation upon marital satisfaction (Baron and Kenny(1986)), and Sobel test was conducted to verify significance of mediating effect. Married migrant women's social activity participation had significant influence upon marital satisfaction, and social activity participation has significant influence upon cultural adaptation stress. Not only social activity participation but also cultural adaptation stress was used at the same time to have significant influence upon marital satisfaction and to hav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cultural adaptation stress. This study conduct exploratory analysis upon married migrant women's social activity participation and cultural adaptation stress to give implications of less divorce of multi-cultural family and higher marital satisfaction.
목차
Ⅰ. Introduction
Ⅱ. Theoretical background
Ⅲ. Methodologies
Ⅳ. Research results
Ⅳ. Discussion and Conclusion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결혼이주여성의 사회 참여 활동이 결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매개변인으로
- 중학생의 체육활동 참여가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나는 누구인가?: 한 다문화가정 소년의 자아정체성에 관한 사례 연구
- 한국 다문화가족정책 통합에 대한 현장전문가의 인식: 다문화가족지원센터와 건강가정지원센터의 통합을 중심으로
- PWIM 활용 기반 어휘 교수-학습 방법의 효용성 연구: 한국어 입문기 중국인 결혼 이주여성들을 대상으로
- 대구시 다문화청소년의 학업 및 진로발달 경험에 대한 해석학적 연구
- 중도입국 청소년을 위한 역사 교재 개발 방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