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나는 누구인가?: 한 다문화가정 소년의 자아정체성에 관한 사례 연구
이용수 151
- 영문명
- Who am I?: A case study of a multicultural boy’s identity
- 발행기관
- 한국다문화교육학회
- 저자명
- 김자영
- 간행물 정보
- 『다문화교육연구』제10권 제2호, 125~14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6.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캐나다 국적의 아빠와 한국 국적의 엄마를 둔 다문화가정의 자녀, 9살 David가 자신의 자아정체성을 어떻게 인식하고 자신의 내면세계를 어떻게 표현하는지에 관하여 심층적 이해를 수행하였다. David의 자아정체성에 대한 내면세계를 이해하기 위하여 내러티브 탐구방법을 활용하였으며 3개월 동안 7번의 1:1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David의 자아정체성은 타고나거나 고정된 것이 아니라, 그가 처한 사회·문화적 환경 속에서 타인과 상호 관계를 맺으며 끊임없이 협상의 과정을 통하여 유동적으로 형성되어지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David의 자아정체성 형성은 그가 사용하는 언어의 영향을 크게 받으며 자신의 다중 언어 사용에 강한 자부심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셋째, 어린 학생도 자신의 자아정체성에 관한 생각, 관점, 가치관, 느낌 등을 명확하게 표현하고 전달할 수 있는 충분한 능력을 갖춘 연구의 주체가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연구를 분석한 결과 다음의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다문화가정 자녀들을 통계적인 숫자나 이성적인 관점이 아닌 내러티브 관점으로 그들의 삶을 총체적으로 이해하려는 성숙한 세계시민으로서의 태도가 필요하다. 둘째, ‘다문화’ 용어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함께 다문화가정 자녀들이 지닌 다양성을 어떠한 카테고리에 범주화시켜 편견이나 차별이 아닌, 그 자체로 존중해주고 인정해주는 개방적이고 수용적 사회 인식이 필요하다. 셋째, 학교 현장에서 다문화가정 자녀들 뿐 아니라 일반 학생 모두를 위한 통합적 다문화교육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수행되어 온 다문화가정 자녀의 정체성에 대한 통계적 연구에서 벗어나, Bakhtin의 대화주의 방법을 활용한 질적 사례 연구로 한 다문화가정 자녀의 자아정체성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통하여 다문화교육 분석방법에 대한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우리 사회 구성원의 일원인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정체성에 대한 좀 더 폭넓은 이해를 바탕으로 학교 현장에서 다문화가정 자녀들을 존중하고 수용하는 성숙한 세계시민의식 형성과 함께 유연하고 다양한 다문화교육을 마련하는데 초석이 되었으면 한다.
영문 초록
Along with increasing local and global multiculturalism, many scholars are interested in understanding how multicultural children negotiate their identity and their ideological becoming in the sociocultural environment. This study (delves into) one 9-year-old Canadian-Korean boy’s understanding of his identity as a multicultural child while living in Seoul, South Korea. I used Bakhtin’s dialogic theory of language in this inquiry. I also used a narrative case study methodology to understand the diverse ways that he represents his sociocultural worlds by recounting his events or actions within and across cultures. I interviewed him in an in-depth way for three months.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dentity is a continuous, enacted, and negotiated process of becoming in different spaces and places. Second, one’s identity is strongly influenced by languages that one uses within his sociocultural contexts. Third, a child can be an active inquirer who voluntarily expresses, voices, and represents his diverse identitie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understanding a 9-year-old Canadian-Korean boy’s dynamic identity construction as a multicultural child is an important way to understand his diverse positionings, values, and beliefs in his social world. More qualitative inquiries of multicultural children and their voices are needed to better understand how multicultural children perceive, negotiate, and construct their identity in multiple sociocultural environment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결혼이주여성의 사회 참여 활동이 결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매개변인으로
- 중학생의 체육활동 참여가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나는 누구인가?: 한 다문화가정 소년의 자아정체성에 관한 사례 연구
- 한국 다문화가족정책 통합에 대한 현장전문가의 인식: 다문화가족지원센터와 건강가정지원센터의 통합을 중심으로
- PWIM 활용 기반 어휘 교수-학습 방법의 효용성 연구: 한국어 입문기 중국인 결혼 이주여성들을 대상으로
- 대구시 다문화청소년의 학업 및 진로발달 경험에 대한 해석학적 연구
- 중도입국 청소년을 위한 역사 교재 개발 방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