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더 나은 미래를 위하여: 우리나라 초등학교 현장에서의 다문화교육과정의 딜레마들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이용수 44

영문명
For the better future: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dilemma of the multi - cultural curriculum in Korean elementary school
발행기관
한국다문화교육학회
저자명
박창민 조재성 김영천
간행물 정보
『다문화교육연구』제9권 제1호, 185~213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3.31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현장에서의 다문화교육과정 딜레마들에 대한 질적 사례 논의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학교 현장에 영향을 미치는 우리나라의 다문화교육 정책 담론에 대해서 살펴보고 이를 통해 바람직한 지향점에 대해 고민하였다. 이를 위해 별도의 분석 기준을 설정해서 현장에서의 다문화교육 실태를 분석하여 구체적인 방향성을 제시했는데 이러한 과정은 정책과 현장이 각각 분리되어 이루어진 기존의 연구와는 차별성이 있다. 연구의 결과, 우리나라의 다문화교육 정책 담론은 다양한 관점이 혼재되어 제시되고 있었고, 다양한 다문화교육 정책 및 현장의 사례를 수집한 결과 점차 그 중요성이 문화다원주의의 관점 쪽으로 조금씩 변화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연구자들이 적용한 다문화교육 분석기준에 따라 초등학교의 다문화사례를 분석한 결과 다음의 결론 및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교육목표 영역에서 학교 다문화교육이 아직도 상호이해교육에 치우쳐져 혹은 전부인 양 다루어지고 있었다. 이에 보다 다양한 수준의 다문화교육 목표 및 내용을 살펴보고, 우리나라 실정에 알맞은 목표의 설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교육과정 영역을 살펴보면, 학교 교육과정 속에서 다문화교육은 극히 일부분만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그마저도 일회성 행사로 기획되어 있었다. 이에 다문화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제도적·행정적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다문화가정 학생들의 환경적 맥락을 고려한, 그리고 비다문화가정 학생이 다양성에 대한 인정과 존중을 할 수 있도록 돕는 수업 방법의 개발이 절실해 보였다. 넷째, 다문화 교육과정에 걸맞은 평가방식이 요구된다. 성취 기준에만 근거한 지필평가 및 수행평가를 지양하고, 다양한 다문화교육 내용 영역에 대한 평가를 다문화 학생뿐만 아니라 비다문화 학생들 모두를 위한 준거개발이 요구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actual field of multi-cultural education objectively.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researchers analyzed the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and then investigated various elementary schools in Gyeongnam region to investigate what kinds of problems occurred in the field and to obtain implications regarding what needs to be changed. As for the data collection, interview, text analysis, and participant observation were used. The findings showed that the no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was very restricted within a scope of mutual understanding education. Thus, institutional level of support is needed to develop a context-oriented goals of multi-cultural education specifically for Korea. Also, schools did not spend much time for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hey usually had it as a form of one time event. In terms of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ethods, teachers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the environment of multi-cultrual background students and help non-multi-cultural background students embrace diversity. Finally, various assessments should be developed to evaluate the increasing number of multi-cultural education curricula. This will help not only the multi-cultural background students but also the non-multi-cultural background students in the field.

목차

Ⅰ. 서 론
Ⅱ. 학교 다문화교육 정책에 영향을 미치는 관점들에 대한 고찰
Ⅲ. 연구 방법
Ⅳ. 학교 현장에서의 다문화교육의 실상과 문제점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창민,조재성,김영천. (2016).더 나은 미래를 위하여: 우리나라 초등학교 현장에서의 다문화교육과정의 딜레마들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다문화교육연구, 9 (1), 185-213

MLA

박창민,조재성,김영천. "더 나은 미래를 위하여: 우리나라 초등학교 현장에서의 다문화교육과정의 딜레마들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다문화교육연구, 9.1(2016): 185-21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