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다문화 교육 인식이 교사의 다문화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58
- 영문명
- Awareness of multicultural education teachers perceived principal multicultural influences on teaching efficacy of teachers
- 발행기관
- 한국다문화교육학회
- 저자명
- 최성보 김영학
- 간행물 정보
- 『다문화교육연구』제7권 제3호, 153~169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9.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교사가 지각하는 학교장의 다문화 교육 인식에 대해 알아보고 이러한 학교장의 다문화 교육 인식이 교사의 다문화 교육 교수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다문화 교육 중요도와 수행도 인식은 교사의 다문화교육 교수효능감의 하위 영역인 일반생활, 수업기술, 인간관계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학교장은 다문화 교육의 발전에 대한 관심, 의사결정을 위해 교사를 격려, 교사들의 지적 성장에 대한 도움, 교사들을 향한 신뢰와 존경의 태도, 다문화 교수에 관한 피드백, 다문화 환경개선 등에 대한 다양한 아이디어 도출 등의 노력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학교 경영자인 교장은 학교 공동체의 구성원이 다문화 교육의 발전을 위해 서로 협력할 수 있는 동기를 부여하고 교사의 다문화 교육 교수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영문 초록
Seeing out there to learn about multicultural education recognized by the principal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ive teachers as the target affects the efficacy of multicultural teacher education faculty perceptions of multicultural education Does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these. Conducted a survey of 500 people who are teachers working in elementary subjec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principal, and teachers also perceived importance and multicultural education, d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both the sub-area of multicultural teacher education teaching efficacy of general life, teaching techniques, recognition of relationships. Thus, a variety of ideas drawn attention to the development of multicultural education, etc., to make decisions for teachers to encourage, help, about the intellectual growth of teachers' attitudes towards trust and respect teachers, feedback, professor of multicultural multicultural environment improved principal may request that such efforts. Suggests that it must take measures to improve the efficacy of multicultural teacher education teachers are members of the school community for the development of multicultural education to motivate managers to work together, and this study is a school principal.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외국인 교원들의 한국 대학 생활 경험 연구
-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다문화 교육 인식이 교사의 다문화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복지국가 유형과 교육복지의 제도적 모형
- 다문화가정 아동의 문화적응이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와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중등학교 교사의 다문화 교육 인식
- 미디어의 다문화 재현에 대한 비판적 담론 분석: 휴먼 다큐멘터리 EBS <다문화 고부 열전>을 중심으로
- 부계 국제결혼가정의 삶과 교육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방글라데시 출신 결혼이주민 남성의 가정을 중심으로
- 스토리텔링 기반 문화다양성 수업전략 탐색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