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다문화가정 아동의 문화적응이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와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용수 53
- 영문명
- The effect of acculturation on the well-being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 Focused on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ego-resilience
- 발행기관
- 한국다문화교육학회
- 저자명
- 이주영 이미애 문재우
- 간행물 정보
- 『다문화교육연구』제7권 제3호, 113~13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9.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문화적응과 안녕감의 관계를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서울과 경기도에 거주하고 있는 초등학교 3-6학년과 중학교 1-3학년에 재학 중인 다문화가정의 자녀들을 대상으로 하여 2012년 5월 12일에서 8월 말까지 약 4개월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583부의 설문지를 수집하여 불성실 응답을 제외하고 518부를 최종적으로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결과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문화적응, 자아탄력성, 교사지지, 가족지지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문화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친구지지, 가족지지, 자아탄력성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사회적 지지와 자아탄력성은 문화적응과 안녕감 간에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다문화가정 아동의 안녕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친구지지, 가족지지, 자아탄력성의 제고를 통해 문화적응을 향상시키는 접근이 필요함을 제언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on and multicultural children's sense of well-be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elementary(grade 3-6) and middle school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living in Seoul and Gyeonggi. The survey was conducted May 12, 2012 to August. 583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among them 518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In result, this study showed that the factors affecting wellbeing were acculturation(cultural adaptation), self-resilience, teachers’ support, family support in order and the factors affecting acculturation were friend support, family support, self-resilience in order. And social support and self-resilience had moderating effects on acculturation and a sense of well-being. In conclusion In order to increase the multicultural child's sense of well-being, it is necessary to improve acculturation by enhancing friend support, family support, and ego- resilienc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외국인 교원들의 한국 대학 생활 경험 연구
-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다문화 교육 인식이 교사의 다문화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복지국가 유형과 교육복지의 제도적 모형
- 다문화가정 아동의 문화적응이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와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중등학교 교사의 다문화 교육 인식
- 미디어의 다문화 재현에 대한 비판적 담론 분석: 휴먼 다큐멘터리 EBS <다문화 고부 열전>을 중심으로
- 부계 국제결혼가정의 삶과 교육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방글라데시 출신 결혼이주민 남성의 가정을 중심으로
- 스토리텔링 기반 문화다양성 수업전략 탐색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