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다문화 가정 내 모국어 사용에 따른 다문화 청소년의 언어 능력 및 사회적 지지 탐색

이용수 20

영문명
Exploring Multicultural Adolescents’ Language Ability & Social Support Patterns - According to the Use of their Mother-Tongue Language in Multicultural Families
발행기관
한국다문화교육학회
저자명
임동선 백수정 김송이 한지윤
간행물 정보
『다문화교육연구』제13권 제3호, 141~162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9.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다문화 가정 내 외국인 어머니가 자녀에게 사용하는 한국어와 모국어 사용 비율에 따라 다문화 청소년의 한국어 능력과 외국어 능력에 유의한 차이가 발생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다문화 청소년이 인식하는 사회적 지지의 집단 간 차이, 그리고 한국어 능력과 외국어 능력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사회적 지지 변인 양상의 차이를 보고자 한다. 방법: 연구 대상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에서 수집한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MAPS)’의 종단연구 데이터 중 2011년에 시행한 1차년도를 활용하였다. 외국인 어머니가 아동에게 사용하는 모국어 사용 비율에 따라, 모국어와 한국어를 반반씩 사용하는 집단(159명)과 한국어만을 사용하는 집단(946명)으로 연구 대상자를 분류하였다. 다문화청소년이 인식하는 사회적 지지는 가족의 지지, 친구의 지지, 교사의 지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다문화 청소년의 언어능력은 학교성적 문항으로 측정하였으며, 아동의 한국어 능력은 국어 성적, 외국어 능력은 영어 성적으로 측정하였다. 결과: 다문화 가정 내 외국인 어머니가 모국어와 한국어를 반반씩 사용하는 청소년 집단의 한국어 능력(국어성적), 외국어 능력(영어 성적)은 한국어만 사용하는 외국인 어머니를 둔 청소년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두 집단 간 사회적 지지(교사의 지지, 친국의 지지, 가족의 지지)를 비교했을 때, 어머니가 모국어와 한국어를 반반씩 사용하는 집단에서 사회적 지지의 하위 영역(교사의 지지, 친국의 지지, 가족의 지지)이 모두 유의하게 높았다. 두 집단 간 한국어 능력(국어성적), 외국어 능력(영어성적)을 예측하는 사회적 지지 변인이 집단 간 다르게 나타났다. 모국어와 한국어를 반반씩 사용하는 집단의 경우 교사의 지지가 한국어 능력 및 외국어 능력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한국어만 사용하는 집단에서는 친구의 지지, 교사의 지지, 가족의지지가 종합적으로 두 언어능력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다문화 청소년의 안정적인 언어 및 정서발달을 위해서는 가정 내 어머니가 모국어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 어머니의 모국어 사용과 관련한 인식 개선을 위한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empirical evidence on the importance of the use of mother-tongue language(L1) using big data. This study utilized data from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MAPS). Groups were divided into two based on the ratio of mother tongue and L2 usage: L1.L2 use and L2 use groups. We analyzed Korean, foreign language proficiency, and social support (i.e. support of family, friends, and teacher)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as key variables. In the L1.L2 use group, Korean and foreign language proficiency, and all the social support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ones of L2 use group. Social support variables predicted both language proficiency, but each group showed different patterns; in the L1.L2 use group, the teacher support significantly predicted both language proficiency, whereas in the L2 group, the friends, teacher, and family support altogether served as comprehensive predictors of language proficiency. This study suggested the importance of using L1 for stable language and emotional development of multicultural children, and provided a rationale for improving perception of L1 use.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동선, 백수정, 김송이, 한지윤. (2020).다문화 가정 내 모국어 사용에 따른 다문화 청소년의 언어 능력 및 사회적 지지 탐색. 다문화교육연구, 13 (3), 141-162

MLA

임동선, 백수정, 김송이, 한지윤. "다문화 가정 내 모국어 사용에 따른 다문화 청소년의 언어 능력 및 사회적 지지 탐색." 다문화교육연구, 13.3(2020): 141-16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