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다문화 청소년 내담자의 ‘학교 적응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이용수 36

영문명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School Adjustment Experiences’ of Multicultural Adolescent Clients
발행기관
한국다문화교육학회
저자명
손혜진
간행물 정보
『다문화교육연구』제13권 제3호, 27~54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9.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다문화 청소년 내담자의 학교 적응 경험의 본질과 의미를 이해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학교 상담실에 방문하여 상담을 받은 경험이 있는 10명의 다문화 청소년 내담자들에게 학교 적응 경험을 묻는 심층 면담을 하고 현상학적 방법으로 분석 절차를 거쳐 다문화 청소년 내담자의 학교 적응 경험과 의미는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총 108개의 의미를 기반으로 하여 경험의 본질적인 구조인 54개의 주제와 12개의 주제 묶음, 4개의 범주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나타난 다문화 청소년 내담자의 학교적응 경험의 본질은 ‘다수의 부정적 경험의 반복과 소수의 긍정적 경험 사이의 위태로운 외줄타기’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중도입국 다문화 청소년들은 첫째, ‘교실의 투명인간’이 된 것 같은 경험을 했다. 둘째, 자신에 대해 “너는 ‘기타 등등’이야.”라고 말하는 듯한, 자신에 향한 경계와 편견, 미묘한 차별과 은밀한 배제를 알아차리는 경험을 했다. 셋째, 질풍노도의 시기라는 발달적 특수성과 이들이 마주한 상황적 특수성이 맞물리며 ‘고민과 고통, 고립을 마주하는’ 경험을 했다. 넷째, 이러한 과정 속에서 이들은 ‘부적응에 적응하는’ 경험을 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 청소년 내담자의 학교 적응력 향상을 위한 다문화 교육과 학교 상담의 의의 및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school adjustment experiences of multicultural adolescent clients who had received counseling at their school counseling office. The clients were interviewed in-depth about their school adjustment experiences. Then, the interviews were analyzed by using the phenomenological method to determine the school adjustment experiences of the clients and the meaning that these experiences have for them. The study found that on the basis of a total of 108 meanings, there were 54 themes, 12 themes clusters, and four categories that formed the essential structure of school adjustment experiences. Thus, it was revealed that the school adjustment experiences reported by the multicultural adolescent clients can be essentially classified into four phenomenological categories of meaning. These four categories are “Living as the invisible in class.”, “You’re the Etc.”, “The time of storm and stress: confronting in agony, distress, and isolation”, “Adapt to the state of maladjustment.”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suggested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school counseling with respect to improving the school adjustment of multicultural adolescent client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손혜진. (2020).다문화 청소년 내담자의 ‘학교 적응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다문화교육연구, 13 (3), 27-54

MLA

손혜진. "다문화 청소년 내담자의 ‘학교 적응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다문화교육연구, 13.3(2020): 27-5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