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국내 HRD환경에서의 경력적응성 메타분석

이용수 39

영문명
A Meta-analysis of Career Adaptability in Korea HRD Environment
발행기관
한국기업교육학회
저자명
주홍주 오서경 유명현 송지훈
간행물 정보
『기업교육과 인재연구』기업교육과 인재연구 제25권 제2호, 1~36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6.30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메타분석을 통해 근로자 및 경력자의 경력적응성과 관련된 국내 연구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개인 및 조직에 적용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경력적응성과 관련된 71개의 국내 연구물을 선정하여 31개의 취합된 관련 변인을 Savickas의 구성주의 경력이론 적응모델(2013)을 기반으로 범주화했다. 관련 변인들의 효과크기를 산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장 높은 효과크기를 보인 범주는 적응자원 관련 변인이었다. 둘째, 두 번째로 높은 효과크기를 띈 범주는 적응준비 관련 변인이었으며 그 중 자아존중감이 가장 높은 효과크기를 보였다. 셋째, 적응반응 관련변인으로 경력계획과 지속적학습활동,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경력적응성과 정적효과크기를 보였다. 넷째, 적응결과 관련 변인으로 고용가능성이 가장 높은 효과크기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적응모델 외의 변인으로서 대인관계, 자기주도학습이 경력적응성과 높은 정적 효과크기를 보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경력적응성에 관련하여 학문적⋅실천적 함의 및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sively analyze researches in Korea that are related to career adaptability of people who have work experiences and to present practical implications for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To meet this purpose, this study selected 71 domestic studies concerning career adaptability and categorized 31 derived variables based on Savickas’ Career Construction Model of Adaptation(2013). The result of the calculated effect size of related variables is as follows. First, the variables in adaptability resources are found to have the highest effect sizes among the four categories. Second, the category demonstrating the second highest effect sizes is adaptivity related variables, and self esteem shows the highest effect size among them. Third, adapting related variables, such as career planning, continuous learning, vocational decision self efficacy are analyzed to be positively related to career adaptability. Fourth, employability appeared to be the variable showing the highest effect size among adaptation related variables. Lastly, aside from the career construction model of adaptation, variables such a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self directed learning demonstrated a strong positive effect size with adaptability. Based on these results,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suggestions are discussed regarding career adaptabilit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주홍주,오서경,유명현,송지훈. (2023).국내 HRD환경에서의 경력적응성 메타분석. 기업교육과 인재연구, 25 (2), 1-36

MLA

주홍주,오서경,유명현,송지훈. "국내 HRD환경에서의 경력적응성 메타분석." 기업교육과 인재연구, 25.2(2023): 1-3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