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메타버스의 경험적 특성과 미술교육: 인지 학습이론과 경험적 특성 분석을 중심으로

이용수 151

영문명
Metaverse and Art education: The perspective of cognitive theory and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metaverse experience
발행기관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저자명
김시내
간행물 정보
『미술교육연구논총』제73집, 1~34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5.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는 메타버스 기반 교육에 대한 인지적 접근과 경험의 특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통해 메타버스의 미술 교육적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구성주의와 사회적 구성주의, 놀이학습이론, 체화된 인지이론은 메타버스 내에서 교육 경험을 설계하고 구현하기 위한 중요한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 구성주의적 인식론을 기반으로 실습과 경험을 통한 학습과 가상 환경 내에서 도구와 재료를 사용하여 세계에 대한 자신의 이해를 나타내는 인공물과 창작물을 구축하고 생성할 수 있으며, 사회적 상호작용과 공유의 학습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창작을 위한 협업 환경을 제공한다. 메타버스는 게임화, 역할극, 시뮬레이션 등의 진지한 놀이로서의 요소는 학습의 방법론적 접근을 가능하게 한다. 다중감각적 체험을 제공하는 메타버스 환경은 지각의 확장과 네트워크로 연결된 경험으로 아이디어를 생성하고 창발시킴으로써 새로운 형태의 창의성과 예술적 표현을 이끌어낼 수 있다. 메타버스의 경험적 특징으로 몰입, 상호작용, 모든 장소(anywhere), 상상력을 들 수 있는데, 모든 장소의 특성은 학생들은 물리적 공간과 가상 공간에서 이중적이며 좀 더 폭넓은 행위 주체성을 누리며 메타버스 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공공미술을 통해 교실의 벽을 벗어나 미술수업을 확장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준다. 그리고 몰입과 상호작용적 특성으로 메타버스의 시뮬레이션 환경은 몰입적 학습을 할 수 있게 하며, 직접적 체험과 공감으로 예술품과 역사적 내러티브에 깊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공간예술과 시간예술을 경험을 통합하는 새로운 창작의 도구로서 활용될 수 있으며, 상상력의 공간에서 새로운 예술 경험을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the Cognitive Learning Theory approach to metaverse-based educ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experiences were comprehensively analyzed, and through this, the applicability of the metaverse to art ducation was explored. Constructivism and social constructivism, play-learning theory, and embodied cognitive theory provide an important framework for designing and implementing educational experiences within the metaverse. The metaverse is based on constructivism, learning through practice and experiential learning, and using tools and materials within virtual environments to build and create artifacts and creations that represent one's understanding of the world. And by establishing a learning system of social interaction and sharing, it provides a collaborative environment for creation. The elements of the metaverse as serious play, such as gamification, role play, and simulation, enable a methodological approach to learning. A metaverse environment that provides a multi-sensory experience can lead to new forms of creativity and artistic expression by generating and emerging ideas through the expansion of perception and network-connected experiences. Based on the experi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metaverse, such as immersion and interactivity, experience and empathy, narrative, anywhere and imagination, it can be applied to public art, schools, museums, and art gallery education in various ways. Public art activities using metaverse technology re-contextualize the place through playful activities such as appreciating, arranging, sharing, exploring, and performing missions in the space where we usually stay. And personal experiences and interactions with the community generate meanings and stories. And the technologies of the metaverse allow people to participate in artworks and historical narratives through experience, It leads to a multi-layered and expanded narrative by enabling one to discover meaning with individual perspective. And it can be used as a tool for new creation that integrates spatial and temporal arts experiences, and students can experience new art form in the space of imagination.

목차

Ⅰ. 서론
1. 메타버스 환경과 미술교육
2. 메타버스 개념
Ⅱ. 메타버스와 인지이론
1. 메타버스의 구성주의와 사회적 구성주의적 요소
2. 메타버스의 놀이적 요소와 인지학습이론
3. 체화된 인지와 사이버지각
Ⅲ. 메타버스 경험의 특징과 미술교육
1. 모든 장소(Anywhere)
2. 몰입과 내러티브
3. 상상력을 바탕으로 한 창조적 경험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시내. (2023).메타버스의 경험적 특성과 미술교육: 인지 학습이론과 경험적 특성 분석을 중심으로. 미술교육연구논총, (), 1-34

MLA

김시내. "메타버스의 경험적 특성과 미술교육: 인지 학습이론과 경험적 특성 분석을 중심으로." 미술교육연구논총, (2023): 1-3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