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隨園詩話』에 채록된 淸代 시 수용양상 고찰

이용수 2

영문명
A study on Acceptance Phase of Qing Dynasty's poetry in 『Sui Yuan-Shi Hua(隨園詩話)』
발행기관
영남퇴계학연구원
저자명
신재환
간행물 정보
『퇴계학논집』제32호, 225~272쪽, 전체 4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6.30
8,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詩選集의 기능’이라는 詩話의 부차적 역할에 중점을 두고, 『隨園詩話』에 채록된 많은 淸代 詩가 어떤 목적으로 채록되고, 또한 그것의 채록 경로가 어떠하며, 나아가 채록된 시가 작가 유형별로 어떠한 양상을 띠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먼저 다량의 청대 시를 『수원시화』에 채록한 목적은 효율적인 ‘성령설의 표방’과 많은 ‘무명 시인의 시 발굴’이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이해할 수 있었다. 전자는 성령설의 본령인 ‘赤子之心의 간직’과 ‘獨抒性靈의 발현’, 그리고 당시 성행한 考據詩와 浙派 시에 대한 반발의 형태로 나타나며, 후자는 『수원시화』가 청대 많은 무명 시인들의 시를 세상에 알리는 창구 역할을 충실하게 이행하는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처음부터 자신의 시가 시집의 형태로 간행될 기회를 얻지 못했던 많은 무명 시인들의 시가 詩話라는 지면을 통해서만이 비로소 세상에 알려질 수 있다는 절박함과 『수원시화』에 채록된 청대 시의 방대함이 적절하게 맞아떨어진 결과로 이해할 수 있었다. 청대 시의 채록 경로는 크게 작시자의 요구에 의한 채록과 원매의 적극적 수집에 의한 채록, 그리고 우연히 佳句를 접한 후의 채록이라는 세가지 방법이 사용되었다. 그 중 원매의 적극적 수집에 의한 채록은 대부분 성령설에 부합하는 작품으로 국한되며, ‘문호의 관대함’[門戶須寬]과 ‘채록의 엄격함’[采取須嚴]이라는 두 가지 채시 원칙에 의해 이루어졌다. 그러나 채시 과정에서 ‘차라리 넘쳐날지언정 빠뜨리지 말아야 한다.’[寧濫毋緪]는 압박감으로 말미암아 ‘채록의 엄격함’은 그리 철저하게 지켜지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채록된 청대 시는 작가별로 趙翼과 蔣士銓을 비롯한 性靈派 시인, 査愼行과 厲鶚을 비롯한 浙派 시인, 유명 문인과 관원, 제자, 기타 무명 시인 등 다섯 유형으로 분류하여 고찰하였다. 이 과정에서 당시 성령설과 첨예하게 대립하던 기타 4대 시학이론, 즉 神韻說과 格藐說, 그리고 肌理說과 관련된 시인의 작품은 『수원시화』에 거의 채록되지 않았다. 이는 원매가 『수원시화』의 편찬을 마무리할 즈음에는 신운설과 격조설은 이미 쇠퇴의 길로 접어들기 시작했고, 기리설은 동조 세력이 상대적으로 미약했으며, 해당 시학이론을 표방하는 관련 시편을 『수원시화』에 몇 수 채록한다고 해서 확고한 우위를 차지할 수 없다는 현실적 어려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기 때문일 것이다. 성령파 시인과 절파 시인은 대체로 전문 작가로 구성되었으며, 기타 유형의 시인은 모두 무명의 작가군에 속한 사람들이다.

영문 초록

In this paper, we focused on the secondary role of Shi Hua(詩話) called ‘a function of poetry anthology’ and examined for what purpose a considerable number of Qing Dynasty poems(淸代 詩) from 『Sui Yuan Shi Hua(隨園詩話)』 are recorded, what its recording path is, and furthermore, how the recorded poems are shaped by type of writer. The purpose of recording a large number of Qing Dynasty poems could be understood mainly in two aspects : the efficient advocacy of xinglingshuo(性靈說) and the discovery of poems by many unknown poets. The former appears in “expression of one’s own spirit(獨抒性靈)”, the main spirit of xinglingshuo(性靈說) and the form of opposition to the evidence poetry(考據詩) and Zhejiang school(浙派)’s poetry at the time, and the latter appears that 『Sui Yuan Shi Hua(隨園詩話)』 have faithfully fulfilled the role of a window to inform the outside world of the works of many unknown poets in the Qing Dynasty. It can be understood as the result of the appropriate match between the urgency that many unknown poet’s works, which could not be published in the form of poetry from the beginning and the vastness of the 『Sui Yuan Shi Hua(隨園詩話)』. Three methods of collecting were commonly used : collecting at the request of an individual, active collecting of Yuan-mei(袁枚), and collecting of a fine poem poem by chance. Among them, active collecting of Yuan-mei(袁枚) was limited to works consistent with xinglingshuo(性靈說) advocated by him, and was carried out by the dual collection principles of ‘generosity of the gate’ and ‘strictness of the collection’.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Yuan-mei(袁枚)’s ‘strictness of the collection’ was not observed very thoroughly due to the pressure of “it would rather overflow than be omitted.” The collected Qing Dynasty poems(淸代 詩) were classified into Spirit school(性靈派)’s poets, Zhejiang school(浙派)’s poets, a high official of the imperial court and general officials, disciples and relatives, a woman of high school and commoners by type of writer. Spirit school(性靈派)’s poets, Zhejiang school(浙派)’s poets are generally composed of professional writers, and all other characters belong to an unknown group of writers. The above content discussed in this paper has a limitation in that the cited psalms are far insufficient compared to the total sample of Qing Dynasty poems(淸代 詩) recorded in 『Sui Yuan Shi Hua(隨園詩話)』 due to the limitation of small papers. Therefore, it will be a meaningful task to conduct a full investigation of Qing Dynasty poems(淸代 詩) recorded in 『Sui Yuan Shi Hua(隨園詩話)』 and to organize and analyze them. This must be a task that must be preceded in understanding Yuan-mei(袁枚)‘s xinglingshuo(性靈說) and further studying 『Sui Yuan Shi Hua(隨園詩話)』 as ‘a function of poetry anthology’.

목차

1. 서론
2. 청대 시 채록의 목적
3. 청대 시 채록의 경로
4. 채록된 시의 작가별 분류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재환. (2023).『隨園詩話』에 채록된 淸代 시 수용양상 고찰. 퇴계학논집, (), 225-272

MLA

신재환. "『隨園詩話』에 채록된 淸代 시 수용양상 고찰." 퇴계학논집, (2023): 225-27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