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주요 우울장애 개인 연극치료 사례연구 - 참여자의 여섯조각이야기와 몸 인식 변화를 중심으로 -

이용수 109

영문명
A case study of individual drama therapy sessions for a participant diagnosed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 Focusing on Six-Piece Story-Making(6PM) by the paticipant and changes in her body perception -
발행기관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저자명
현미자
간행물 정보
『연극예술치료연구』제18호, 1~43쪽, 전체 43쪽
주제분류
의약학 > 기타의약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6.30
7,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가정폭력 트라우마 경험이 있고 주요 우울장애를 받은 참여자 A의 개인 연극치료 사례를 참여자의 몸 인식 변화를 중심으로 분석한 것이다. 작업은 연구자가 치료사로서 1년 동안 주 1회 50분씩 총 45회기로 진행하였으며, 개인 연극치료 42회, 가족 연극치료 3회(1회는 남편과 아들이 함께 참여한 가족 연극치료, 1회는 모자 연극치료, 1회는 부부 연극치료)로 이루어졌다. 연구자는 장기적 관찰과 그림과 가면 등의 투사 분석 그리고 참여자 면접을 통해 변화를 분석하였다. 참여자 A는 ‘감각하지 못하는 몸’, ‘감각하는 몸’, ‘상상하는 몸’, ‘변화하는 몸’의 4단계를 경험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A는 작업 시작 후 거의 6개월 동안 ‘감각하지 못하는 몸’을 벗어나지 못했다. 이는 트라우마화된 몸의 특성으로 몸에 대한 부정적 감각을 갖고 있어 신체 감각을 느끼는 것이 위협적으로 느낄 수 있다. A가 다시 안전하고 편안하게 감각을 회복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둘째, A가 ‘감각하는 몸’ 상태에서 ‘상상하는 몸’으로의 변화는 원가족으로부터 심리적 독립 후 가능해졌다. <콩쥐 팥쥐>이야기를 통한 팥쥐의 콩쥐 살해, 자기주장 훈련으로 A는 원가족으로부터 심리적으로 독립하였고 그로 인해 점차 ‘상상하는 몸’으로 변화할 수 있었다. 가족 연극치료를 통해 배우과 관객이 서로 되어주고 역할 바꾸기를 통해 서로를 이해하게 되었다. 셋째, ‘상상하는 몸’에서 ‘변화하는 몸’으로 변화는 남편의 심리적 통제에서 벗어나 자기 목소리를 내기 시작하면서 이루어졌다. ‘또 다른 나’ 가면 작업과 인생길을 피규어로 만들기, 에브리맨 작업을 통해 A는 자신의 인생을 부정적으로만 바라보지 않고 긍정적인 면도 바라보면서 통합적으로 삶을 바라보게 되었다. 넷째, 종결 후 그린 몸 그림에서 A는 ‘하나가 된 것 같아요’라고 말함으로써 몸과 마음이 일치하는 상태로의 변화를 보였다. 이는 연극치료의 장점으로 몸을 통한 역할 입기와 변형을 통해 실제 삶에서의 변화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연구는 주요 우울장애 개인 연극치료 단일 사례이나 필요에 따라 가족 연극치료를 병행하고 참여자의 변화를 여섯조각이야기와 참여자가 그린 몸 그림을 통해 시각적으로 살펴보았다는게 의의가 있다. A의 가장 주요 환경인 가족을 고려한 가족 연극치료는 변화에 변곡점이 되었다. 이를 통해 개인 연극치료에서도 치료사는 언제나 참여자와 참여자 주변을 둘러싼 환경을 함께 고려해야하며 가족치료적 접근도 필요하다는 결론을 얻는다. 향후 연구에서는 연극치료 실제 작업을 가족치료 이론 관점으로 분석하고자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the case of Paticipant A, who had experienced traumatic domestic violence and was diagnosed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focusing on changes in body perception following individual drama therapy. The therapy sessions were conducted by the researcher as a therapist, with a total of 45 sessions held once a week for 50 minutes over the course of a year. Of these, 42 were individual drama therapy sessions, and 3 were family drama therapy sessions (1 with the participant's husband and son, 1 with the participant’s son, and 1 with the participant’s husband). The researcher analyzed the changes in the participant by way of long-term observations, projective analysis such as drawings and mask makings, and one-on-one interviews. Participant A went through four stages of body perception: “a body that cannot sense,” “a body that senses,” “a body that imagines,” and “a body that change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Participant A was unable to move beyond the stage of "the body that cannot sense" for almost six months after starting the therapy. This is the common characteristics found in traumatized people, who have a negative body image and find it threatening to experience physical sensations. It is necessary for A to undergo preliminary work to regain a sense of safety and comfort before being able to restore her sensory perception. Second, Participant A was able to transition from "the body that senses" to "the body that imagines" after achieving psychological independence from her family of origin. Specifically, Participant A attained psychological independence from her family of origin and gradually transformed into the stage of "the body that imagines” through assertive trainings as well as 『The Story of Kongjwi and Patjwi』, which involved the murder of Kongjwi by Patjwi. In addition, Participant A’s family members took on each other’s roles in family drama therapy sessions—shifting from actor role to audience role—and gained understanding of one another. Third, the transition from "the body that imagines" to "the body that changes” occurred as Participant A broke free from the psychological control of their husband and started expressing heir own opinions. This transformation was facilitated through activities such as the "Another Me" mask making activities and creating the journey of her life using figurines, as well as the "Everyman" exercises. Through these activities, Participant A learned to think positively about her life rather than just view her life in a negative way and was able to take a balanced approach to her life. Fourth, during a body drawing exercise conducted at the end of drama therapy sessions, Participant A expressed “It feels like I’ve become one,” which demonstrated her transformation into a state where her body and mind were in harmony. This is one of the advantages drama therapy can offer since those taking part can make positive changes in their life by engaging in role playing or role chaging activities using their own body. This study holds significance in that it explores the changes of the participant by conducting individual drama therapy for a participant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as well as employing family drama therapy when deemed necessary. It also provides visual analysis of the participant’s changes by using techniques such as the Six Part Stroy Making and drawings of participant’s own body. In particular, the family drama therapy, which focuses on the participant’s primary enviroment, is a major turing point for the participant’s change. This highlights the importance for the therapist in individual drama therapy to always consider the participant's surroundings and environment and take a family therapy approach when necessary. In future research, it is desirable to analyze various family therapy theories and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drama therapy from a family therapy perspective.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 문제
3. 연구 방법
II. 이론적 배경
1. 트라우마와 몸: 감각운동심리치료(Sensorimotor Psychotherapy: SP)
2. 주요 우울장애와 이야기 치료
3. 주요 우울장애와 연극치료
4. 연극치료와 몸
Ⅲ. 연극치료 작업 과정
1. 전체 작업 과정
2. 참여자 사전 사후 변화
1) 가계도 변화
2) 이야기 변화
3) 몸의 변화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현미자. (2023).주요 우울장애 개인 연극치료 사례연구 - 참여자의 여섯조각이야기와 몸 인식 변화를 중심으로 -. 연극예술치료연구, (), 1-43

MLA

현미자. "주요 우울장애 개인 연극치료 사례연구 - 참여자의 여섯조각이야기와 몸 인식 변화를 중심으로 -." 연극예술치료연구, (2023): 1-4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