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사의 직무 유형별 시간 배분의 양상 및 그 영향 요인 탐색: 다층 잠재프로파일 분석의 적용

이용수 113

영문명
Exploring the Patterns of Teachers’ Time Allocation to Conduct Main Tasks and Their Influencing Factors: Applying Multilevel Latent Profile Analysis
발행기관
한국교원교육학회
저자명
윤익상
간행물 정보
『한국교원교육연구』제40권 제2호, 295~324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6.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 초등학교와 중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들이 여러 직무를 수행함에 있어 어떠한 양상으로 시간을 배분하는지 프로파일을 도출해 탐색하고, 이러한 프로파일 소속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학교 수준의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이를 위해 TALIS 2018 대한민국 교사(n=5,502)와 교장(n=309)의 설문 응답을 활용하여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시행하였다. 먼저, 교사 수준에서 아홉 개의 주요 직무 유형별 시간 배분 비율에 관한 응답을 활용하여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한 결과, ‘전반적 균형형(61.6%)’, ‘수업 준비 집중형(12.6%)’, ‘행정업무 집중형(9.9%)’, ‘학생 및 학부모와의 소통 중시형(4.9%)’, ‘전문성 개발 중시형(4.3%)’, ‘학교경영 참여형(4.0%)’, ‘교과 외 활동지도 중시형(2.7%)’의 총 일곱 프로파일이 도출되었다. 이렇게 도출된 교사 수준의 프로파일 비율이 학교 수준에서 어떻게 조합되어 나타나는지 파악하기 위하여, 다층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한 결과, ‘교수·학습 및 전문성 신장 관련 직무 중시 학교군(45.7%)’과 ‘행정 및 학생 이해 관련 직무 중시 학교군(54.3%)’으로 명명된 두 프로파일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프로파일들의 영향 요인을 찾기 위해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성별, 최종 학위, 고용 형태, 경력, 학교급, 학생 수, 교사 1인당 학생 수, 이해관계자 참여에 의해 교사 및 학교의 프로파일 소속이 유의한 수준에서 예측됨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는 교사들이 여러 개인 및 학교 환경 요소에 복합적으로 영향을 받으며 다양한 양상으로 그들의 직무수행에 시간을 배분하고 있음을 실증적으로 확인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Korean teachers' time allocation profiles for their main tasks and to investigate how these profiles can be predicted by various teacher and school level factors. To this end, survey reports from 5,502 teachers and 309 principals from the TALIS 2018 Korea data were utilized for the analyses. First, a single level latent profil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eacher reports on their time allocation ratio by nine major task types at the teacher level. As a result, a total of seven profiles including 'overall balanced(61.6%)', 'instruction preparation intensive(12.6%)', 'administrative work focused(9.9%)', 'communication-oriented(4.9%)', 'professional development-oriented (4.3%)', 'school management participation(4.0%)', 'extracurricular activity guidance(2.7%)' were identified. As a result of multilevel latent profile analysis to understand how the derived teacher-level profile aspects appear at the school level, two school profiles including 'teaching and learning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task focused school group(45.7%)' and 'administrative and counseling tasks focused school group(54.3%)' were derived. Lastly,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was conducted to find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profile memberships. The results indicate that teacher's gender, education level, employment type, teaching experience, school size, teacher-student ratio, and stakeholder participation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rofile memberships. Taken together,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by providing empirical information on important aspects of Korean teachers' time allocation patterns to conduct their main tasks. The interpretation and implications from the findings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윤익상. (2023).교사의 직무 유형별 시간 배분의 양상 및 그 영향 요인 탐색: 다층 잠재프로파일 분석의 적용. 한국교원교육연구, 40 (2), 295-324

MLA

윤익상. "교사의 직무 유형별 시간 배분의 양상 및 그 영향 요인 탐색: 다층 잠재프로파일 분석의 적용." 한국교원교육연구, 40.2(2023): 295-32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