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뉴스 데이터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사회적 거리두기 정책에 따른 스포츠 뉴스 미디어 모니터링
이용수 72
- 영문명
- Monitoring Sports Media Public Opinion Under Social Distancing Policies Using News Data Topic Modeling
- 발행기관
-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 저자명
- 이제욱
- 간행물 정보
- 『스포츠엔터테인먼트와 법』제26권 제2호, 173~192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5.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코로나19 펜데믹으로 인해 시행된 사회적 거리두기 정책에 따른 스포츠 분야의 뉴스 미디어 모니터링을 수행하는데 목적이 있다. 데이터 분석을 위해 국내에서 사회적 거리두기를 시행한 2020년 3월 22일부터 2023년 3월 30일까지의 뉴스기사를 수집하고, 자연어처리 기법 중 하나인 토픽모델링을 실시하였다. 사용된 토픽모델링 도구는 파이썬(python) 프로그래밍 기반의 BERTopic을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뉴스 원문데이터로부터 키워드추출, 전처리, 토픽모델링까지 일련의 과정을 모두 수행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양하게 나타났다. 사회적 거리두기를 적용한 스포츠 관련 정부기관의 조치내용, 프로스포츠 및 스포츠 메가이벤트의 연기, 중지, 무관중 등 방역지침 및 전염상황에 따른 대처와 파생되는 이슈, 선수와 감독 등 유명 스포츠인의 사회적 거리두기 위반과 관련된 윤리적 이슈, 골프 산업의 활성화와 쇠퇴, 사회적 거리두기에서의 제한된 스포츠 참여를 위한 첨단기술의 활용,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 이후 생활체육의 재활성화 등의 거시적 주제영역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각 주제를 통해 정보전달, 시사적 견해, 비판, 긍정적 시각 등 다양한 프레임 안에서 다루어진 미디어의 스포츠-사회적 거리두기 정책 이후 스포츠 영역의 시각이 확인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onitor the news media in the field of sports under social distancing policies implemented due to the COVID-19 pandemic. For data analysis, we collected news articles from March 22, 2020 to March 30, 2023, when social distancing was implemented in Korea, and conducted topic modeling, one of the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echniques. The topic modeling tool used was BERTopic based on python programming, and a series of processes from keyword extraction, preprocessing, and topic modeling were performed from the collected news source data. The results of the analysis varied. Macro thematic areas were identified, such as the measures taken by government agencies related to sports with social distancing; quarantine guidelines and issues arising from the epidemic situation, such as postponement, suspension, and non attendance of professional sports and sports mega events; ethical issues related to the violation of lock down by athletes and managers; the rise and decline of the golf industry; the use of advanced technology for limited sports participation during social distancing; and the reactivation of life sports after social distancing was lifted. Through each of these themes, the media’s portrayal of sport and social distancing in the post-social distancing era was identified, with various frames including informational, topical, critical, and positive.
목차
I . 서론
II. 연구방법
Ⅲ. 결과
IV. 논의
V.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장애인의 재활스포츠 지원체계 구체화 방안
- 2032 서울-평양 하계울림픽 유치 실패로 본 남북 공동 울림픽의 추진의 방향성
- 스포츠융복합 측면에서 뉴스 빅데이터를 활용한 메타버스 현안과 발전 방안
- 노인스포츠 정책을 위한 파크골프 관련 뉴스 키워드 분석
- 뉴스 데이터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사회적 거리두기 정책에 따른 스포츠 뉴스 미디어 모니터링
- K리그 시ㆍ도민 프로구단의 경영효율성 분석과 재무구조 개선을 위한 정책적 운영전략 제언
- 4차 산업혁명 기술수용을 통한 스포츠 일자리 정책제언
- 헌법상 스포츠권과 일자리 창출에 관한 고찰 - 노인의 스포츠권을 중심으로 -
- 스포츠 경기조작에 관한 유럽평의회 협약 - 협약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다문화가정 학생과 일반학생의 학업성취도 격차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