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RIASEC 모형에 따른 고등학생들의 진로흥미와 진로성격 요인의 탐색
이용수 12
- 영문명
- An exploration of vocational interests and personality factors of the highschool students based on RIASEC model
- 발행기관
- 대한사고개발학회
- 저자명
- 송광수 조현철
- 간행물 정보
- 『사고개발』제15권 제3호, 55~72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Holland의 RIASEC 모형에 의거하여 진로흥미와 진로성격 요인을 확인하고 양 변인 간 관련성을 탐구하였다. 실재형, 탐구형, 예술형, 사회형, 기업가형, 관습형에 해당하는 진로흥미와 진로성격을 개념적으로 구분하고 이를 측정하는 검사지를 제작하였다. 이어서 이를 G시의 한 고등학교 1학년 8개반 학생들에게 실시하여 179명 응답자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검사자료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의 결과는 진로에 대한 흥미와 성격이 실재형, 탐구형, 예술형, 사회형, 기업가형, 관습형의 요인들로 구성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그리고 진로흥미와 진로성격 별로 각각 실시된 각 요인 간 상관분석의 결과, 진로흥미와 진로성격 모두에서 각 하위요인은 상호독립적인 성격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RIASEC의 각 요인 간 상관은 진로흥미와 진로성격에서 대체로 대응성 있는 패턴을 나타냈으며, 6개 각 요인의 흥미와 성격 간 상관계수는 상당히 높은 편이었으나 동일한 요인으로 간주될 만큼의 정도는 아니었다. 이러한 결과는 진로에 관련한 학생들의 흥미와 성격은 RIASEC 모형의 틀로 이해될 수 있는 개인특성의 서로 다른 면으로서, 유용한 독자적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factors of vocational interests and vocational personality, and the relations between the two vocational constructs. The questionnaires on vocational personality and interests based on Holland's six vocational interest dimensions were developed, and administered to the 179 10th graders of a highschool in G city. A series of exploratory factor analyses showed vocational interests and personality have realistic, investigative, artistic, social, enterprising and conventional factors respectively. And correlational analyses provided further evidence of mutual independence among the 6 factors of the vocational interests and personality. Moreover, correlational patterns among the 6 factors of vocational interests and vocational personality turned out to be generally matched. And each correlation between the 6 interest and personality factors was high to moderate, but not high enough to guarantee the convergence of each of them. All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eparate vocational interests and vocational personality factors according to RIASEC model will be useful for predicting the students’ vocational development and attitude.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