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취업 유지 중인 정신장애인의 회복 경험

이용수 74

영문명
The Recovery Experiences of the Workers with Mental Illness : Applying Concept Mapping Methodology
발행기관
한국직업재활학회
저자명
김대경 정숙희
간행물 정보
『직업재활연구』제33권 제1호, 103~124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4.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취업 유지 중인 정신장애인의 회복 경험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개념도 연구(concept mapping)를 활용하였다. 이를 위해 취업 유지 중인 정신장애인12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심층 면접을 진행하였고, 진술문 통합 과정을 거쳐 82개의 최종 진술문을 도출하였다. 또한 심층 면접에 참여한 연구 참여자가 최종진술문에 대한 유사성 분류와 중요도 평정을 시행하였다. 이렇게 수집된 자료들은 집단 유사성 행렬표(GSM)로 만든 다음, 다차원 척도 분석 중 ALSCAL과 계층적군집분석 중 Ward의 연결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취업 유지 중인 정신장애인의 회복 경험에 관한 개념도를 최종적으로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취업 유지 중인 정신장애인의 회복 경험 개념도의 차원의 수는 총 2개로, ‘개인적-사회적’ 차원과 ‘기능적-인식적’ 차원으로 명명되었다. 군집분석의 결과7개의 군집으로 분석되었고, 취업 유지 중인 정신장애인의 회복 경험에 관한 군집은 각각 ‘사회적 관계의 성장’ (군집 1), 주체적인 경제 활동’ (군집 2), ‘자기돌봄능력의 강화’ (군집 3), ‘정신과적 증상 감소’ (군집 4), ‘내면의 힘 발견’ (군집 5), ‘지지와 옹호’ (군집 6), ‘타인에 대한 이해’ (군집 7)로 명명되었다. 최종진술문의내용별 중요도는 평균 4.05점으로 평정되었고, 군집별 중요도는 ‘내면의 힘 발견’ (군집 5)과 ‘주체적인 경제 활동’ (군집 2)이 평균 4.17점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정신장애인을 위한 실천적·정책적 함의를 논의하였고, 연구의 의의와 한계를 살펴보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covery experiences of workers with mental illness by using Concept Mapping. For the study,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12 workers with mental illness, and 82 statements were derived through the statement integration process. After that, the 12 participants generated 50 statements and classified them according to their similarities, also rated each statement of importance. Next, multi-dimensional scaling (using ALSCAL)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using Ward’s method) were conducted based on the participants’ sorting of final statements. Through this process, the conceptual map of the recovery experiences of workers with mental illness was finally confirm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The dimensional analysis of statements was named in 2 dimensions: ‘personal–social’ and ‘functional– cognitive’. As a result of cluster analysis, the statements were categorized 7 clusters i.e., ‘development of social relationships’, ‘independent economic activity’, ‘empowering self-care ability’, ‘decreasing psychiatric symptoms’, ‘finding inner strength’, ‘support and advocacy’ and ‘understanding others’. The average of significance for all 82 statements was 4.05, and relative significance between clusters revealed that ‘finding inner strength’ and ‘independent economic activity’ got the highest rating(M = 4.17). Based on the findings, practical and poli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for people with mental illness. Finally,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suggested, as well as the direction of further research.

목차

Ⅰ. 서론 및 문제제기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대경,정숙희. (2023).취업 유지 중인 정신장애인의 회복 경험. 직업재활연구, 33 (1), 103-124

MLA

김대경,정숙희. "취업 유지 중인 정신장애인의 회복 경험." 직업재활연구, 33.1(2023): 103-12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