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등학생의 음악흥미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교생활 만족도 연구
이용수 213
- 영문명
- A Study on Music Interest, Academic Self-Efficacy,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in High School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공학회
- 저자명
- 고정한 조정은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공학』제55호, 83~10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4.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음악수업에 참여하는 고등학생의 음악흥미도와 학업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G.광역시에 거주하는 인문계 고등학생 35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기술통계 분석, 상관관계 분석, 대응표본 t-검정, 일원변량분석을 통해 결과를 도출하였다. 분석의 결과는 첫째, 음악수업에 참여하는 고등학생의 음악흥미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교생활 만족도는 인구사회학적 변인(성별, 학년,)에 따라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둘째 학교유형별 비교에서는 음악흥미도의 음악태도에서 차이가 컸으며,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교생활 만족도가 부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셋째, 고등학생의 음악흥미도와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교생활 만족도는 서로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고등학교 시기의 음악활동이 학교생활과 내적 정서에 포괄적으로 영향이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interest in music among high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school music classes on their academic self-efficacy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from 350 students enrolled in academic high schools in G Metropolitan City in South Korea.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paired t-test,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were conducted using the collected data to produce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level of interest in music of the students participating in music classes, academic self-efficacy,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showed a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ir socio-demographic variables (gender, school year). Second, the level of interest in music of the students participating in music classes, academic self-efficacy,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also demonstrated a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school types. Third, high school students' interest in music revealed a mutual correlation with academic self-efficacy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mply that musical activities during high school years have comprehensive impact
on school life and internal emotion.
목차
Ⅰ. 서론
Ⅱ. 음악흥미도와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학교 생활 만족도 관련 요인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