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등록 이주아동 지원 활동가의 실천경험 의미
이용수 410
- 영문명
- Practice Experiences of Activists Working with Undocumented Immigrant Children
- 발행기관
-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 저자명
- 김현진 노충래
- 간행물 정보
-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제17권 제1호, 5~3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3.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미등록 이주아동에 대한 실천현장의 대응실태를 파악하고 활동가들의 경험에 대한 맥락과의미를 발견하여 향후 미등록 이주아동 복지지원 환경마련을 위한 사회복지적 함의를 도출하는 것을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현재 미등록 이주아동의 복지를 직접적으로 지원하고있는 활동가 12명을대상으로 개별심층면접, 현장 참여관찰, 관련 문서기록열람을 실시하고 질적사례연구방법을 적용하여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3개의 상위범주와 7개의 하위범주, 그리고 17개의 개념이 도출되었다. 핵심주제는 ‘제도의 주변에서 각자도생하며 사각지대 아동 권리를 위해 고군분투’로 도출되었다. 결과를바탕으로 미등록 이주아동과 일하는 활동가들을 지원하기 위한 함의를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how social welfare and related fields respond to needs of undocumented immigrant children and to find the context and meaning of activists' experiences, so that we can draw implications for social welfare practice and policy.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we recruited 12 activists who currently directly work with undocumented immigrant children and interviewed them individually, while observing their interactions with children via on-site participation and reading related documents. We analyzed the data using a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As a result, we drew 3 main themes, 7 sub-themes, and 17 meaning. The core theme was ‘struggling to defend children's rights in blind spots while living independently in the periphery of the system.’ Based on the results, we made several suggestions to support activists’ daily practice experiences.
목차
1. 서론
2. 문헌고찰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성인발달장애인의 대학기반 평생교육 운영 및 프로그램 적합도에 대한 부모인식 연구
- 시각장애 교원의 교직 경험 탐구: 도전, 극복, 그리고 성장
- 치과위생사의 장애인식개선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