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몸통 안정화 운동이 경직성 뇌성마비 아동의 대근육 운동기능, 기능적 독립성과 몸통 근육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53
- 영문명
- The Effects of Trunk Stabilization Exercise on Gross Motor Function, Functional Independence and Trunk muscle activity of Spastic Cerebral Palsy Children
- 발행기관
- 한국보건기초의학회
- 저자명
- 방현수
- 간행물 정보
- 『한국보건기초의학회지』제15권 제2호, 146~152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면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applying trunk stabilization exercises for 8 weeks to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on their gross motor function, functional independence, and trunk muscle activity. A diagnosis of spastic cerebral palsy was experienced in 15 children. The trunk exercise was composed of three types of exercises: abdominal drawing exercise, Bridge exercise, and Sit up exercise for 20 minutes at a time, twice a week, for 8 weeks. Significant increases were maintained in sitting, crawl and kneeling position among GMFM at both 4 weeks and 8 weeks of application (p<.05).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both the WeeFIM mobility and locomotion category after 4 weeks and 8 weeks of application (p<.05). Trunk muscle activity also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rectus abdominis and external oblique abdominal muscles at both 4 and 8 weeks of application (p<.05). It was found that the trunk stabilization exercise program is an effective intervention method for improving gross motor function, functional independence, and muscle activity, which are measures of motor function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목차
서 론
연구 방법
연구 결과
고 찰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안경사 임상 굴절검사에 대한 분석
- 도구를 이용한 연부조직 가동술과 고주파 심부투열기법이 발등굽힘 제한이 있는 성인의 발목관절 가동범위, 장딴지근의 긴장도, 뻣뻣함에 미치는 영향
- 성장호르몬이 단구 세포주 THP-1과 U937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 평가
- 전북 진안지역에서 야생들쥐의 렙토스피라균 보유
- 기초정신건강복지센터 임의프로그램 대상자의 미충족욕구와 지역사회기관 연계
- 한의대생의 의학 영어 수업 경험
- 몸통과 하지의 순환식 운동프로그램이 지역사회 만성뇌졸중 환자의 균형과 보행에 미치는 영향
- 가상현실 거울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운동관련 뇌 전위 및 상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 남녀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우울, 분노가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SNS 중독경향성, 간호정보역량, 정보윤리 의식이 환자 개인정보 보호 인식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자기효능감이 코로나19 예방행위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성취동기, 자기효능감, 자기조절학습전략이 창의적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 몸통 안정화 운동이 경직성 뇌성마비 아동의 대근육 운동기능, 기능적 독립성과 몸통 근육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그릿, 대인관계 능력이 대학 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e-헬스 리터러시가 예방적 건강행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면역학분야 BEST
- 혼종모형을 이용한 요양병원 간호사의 치료적 말벗간호에 대한 개념분석
- 간호대학생의 SNS 중독경향성, 간호정보역량, 정보윤리 의식이 환자 개인정보 보호 인식에 미치는 영향
- 시뮬레이션 기반 결핵환자 간호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지식, 임상추론역량, 임상수행능력,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의약학 > 면역학분야 NEW
- What Are the Most Effective Strategies for Recurrent Laryngeal Nerve Preservation in Robotic Thyroidectomy for Advanced Thyroid Cancer?: A Comprehensive Review
- A Novel Technical Approach for Infant Thyroidectomies in Twins With MEN2B (M918T RET Codon) Highest Risk Mutations
- A Rare Intraoperative PTH Level Spike Immediately After Parathyroid Resection: A Case of an Additional Adenoma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