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수초(록)지인 한지의 평량 표준 개선 방안 연구
이용수 26
- 영문명
- Research on Ways to Improve the Standards for Basis Weight of Handmade Paper, Hanji
- 발행기관
- 표준인증안전학회
- 저자명
- 장경주 정소윤 손하늘 정선화
- 간행물 정보
- 『표준인증안전학회지』제12권 제4호, 43~60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평량은 한지의 물리·광학적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기본적인 인자이며, 한지를 분류하는 주요한 기준 중 하나이다. 특히 수초(록)지로 제작되는 한지는 목적 및 용도에 따라 다양한 평량을 가지므로 이를 분류하는 규격은폭넓은 범위에서도 적용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초(록)지로 제작된 한지의 평량 규격을 재검토하고, 이를 기반으로 개선점을 제안하여 전통 한지의 대중화 및 활용성을 증대하고자하였다.
본고에서는 다음과 같이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한지의 평량 관련 연구현황을 조사하고 현재 활용되는 표준을검토하였다. 둘째, 백분율(%) 단위 2개 조건(±4%, ±10%), 평량(g/㎡) 단위 2개 조건(±5 g/㎡, ±2.5 g/㎡) 으로 총 4개 조건의 평량 허용차를 적용하여 3,000점의 한지를 분류하였다. 셋째, 분류된 한지를 대상으로 광학적, 물리적 특성 평가를 수행하여 한지의 특성 평가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조사 결과 현재까지 조사된 지류 유물 및 시판 한지의 평량은 최소 8.5 g/㎡, 최대 499 g/㎡의 범위로 확인되었다. 평량 허용차 적용 결과, 백분율(%) 단위(±4%, ±10%)로 분류한 한지는 평량이 증가할수록 측정값의공차가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나 한지의 평량 분류 기준으로 적용하기에는 물성 값에 미치는 영향이 다소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평량 단위(±5 g/㎡, ±2.5 g/㎡)로 분류한 한지는 중복 및 누락되는 평량 범위 없이 모든한지에 대한 분류가 가능하며, 특히 ±2.5 g/㎡ 기준을 적용할 경우 측정값 간의 편차가 크게 감소하는 경향을보여 분석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기준임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Basis weight is a fundamental factor affecting the physical·optical properties of Hanji, Korean traditional paper, and one of the main criteria for classifying. Especially hanji made by of craftsman, there are various basis weights depending on the purpose and use, thus standards for classifying should be applicable in a wide range. In this study, we reviewed the basis weight standard of hanji made by hand and tried to increase the spread and utility of traditional hanji by proposed improvements based on this results.
In this paper, we conducted research as follows. First, we investigated the status of research related to the basis weight of hanji and examined the currently practical standards. Second, we sorted out the 3,000 hanji papers apply a tolerance of 4 conditions of basis weight such as two types percentage(%) unit conditions(±4%, ±10%) and two types basis weight unit(g/m2 ) conditions (±5 g/m2 , ±2.5 g/m2 ). Third, we performed an experiments to optical and physical property evaluation subjected the classified hanji, investigated the effects on the characterization results of hanji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Findings on survey, we confirmed that the range of basis weight of the paper cultural assets and commercial hanji have a minimum 8 g/㎡ and a maximum 499 g/㎡. As a result of applying the basis weight tolerance, it was shown that the tolerance of the measurement value widens as the basis weight increases for hanji classified by percentage(%) units(±4%, ±10%), therefore, confirmed that the effect on the physical properties is somewhat larger when applied as a basis weight classification standard for hanji.
On the other hand, hanji classified by weight unit (±5 g/㎡, ±2.5 g/㎡) can be sorted out all hanji without overlapping or missing basis weight ranges.
In particular, when the ±2.5 g/㎡ standard was applied, it was confirmed that the standard could improve the reliability of analysis because of that the variation between measured values tended to be greatly reduc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문제 및 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가설 컨테이너 부자재를 사용한 단일공간(7mx6.5m)의 복층 컨테이너 구조설계에 대한 연구
- 외부 충격을 경감시키는 건설 안전모의 영향성 평가
- 수초(록)지인 한지의 평량 표준 개선 방안 연구
- 산업표준심의회 역할 개선 방안 연구
- 지역 관광수입 추계방법 표준화 연구
- 다계층 기업관계자원 역량평가 표준프레임워크
- 표준화를 위한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개선 저해요인 분석
- 환경데이터 측정을 통한 철도 부품의 사용 환경 조사 및 부품에 대한 가속 수명시험 조건 도출
- 안의료용 하이드로젤 렌즈의 색도 분석에 관한 표준화 연구
- 하이드로젤 렌즈의 내구성 평가를 위한 파단강도의 측정방법에 관한 표준화
- 중간 남성 크기 THOR Metric 더미의 흉부 거동 특성 파악에 대한 연구
- 한스 애빙의 “예술경제의 패러독스” 논리 분석과 대응전략으로서 보조금 지원 관련 표준화 방안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