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외부 충격을 경감시키는 건설 안전모의 영향성 평가
이용수 117
- 영문명
- Evaluation of the Impact of Construction Hard Hats to Reduce External Impact
- 발행기관
- 표준인증안전학회
- 저자명
- 구현주 심관보 심민경
- 간행물 정보
- 『표준인증안전학회지』제12권 제4호, 27~41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건설 작업에서 낙하, 비래, 붕괴, 추락 등의 사고가 발생한다. 노동자를 위험으로부터 보호해주는 안전모를 구조해석을 하여 안전모 착용 유무에 따른 위험도를 파악한다. 안전모는 용도, 기능에 따라 A 종, AB 종, AE 종, ABE 종 4가지로 나누어진다. 안전모를 분류하여 강구 충돌시험을 시뮬레이션 한다. 안전모는 보강대가 있는 안전모와 보강대가 없는 안전모로 각각 모델링한다. 머리끈과 안전모 내부의 충격흡수재를 모델링 한다.
낙하물은 지름 50mm 강구로 모델링한다. 사람의 머리는 구 형태로 모델링한다. 충격 해석을 하기 위해 Work Bench에서 Explicit Dynamics로 해석을 한다. 사람의 머리가 몸에 고정되어 있다는 전제하에 사람 머리의 하부모델을 Fixed Support를 설정하고, 낙하물의 속도는 19.8m/s로 설정한다. 낙하물의 초기 속도는 역학적 에너지보존 법칙에 의거하여 구했다. 중력가속도 9.81m/s2 로 설정하고 건물 5층 정도의 높이에 해당하는 20m에서 임의의 질량이 가지는 물체의 위치에너지가 운동에너지로 변환하는 조건으로 초기 속도를 구한다. 머리 중앙과 측면에 충격이 가해진 상황, 안전모를 착용한 머리 중앙과 측면에 충격을 가한 상황 등 5가지 조건에 대하여 해석을 수행한다. 해석결과 안전모를 착용한 것이 안전모를 착용하지 않았을 때에 비해 머리에 전해지는 충격이 약 95% 정도 감쇠한다는 결과를 얻었다. 현장에서는 안전모를 필수적으로 착용해야하는 이유를 해석적으로 증명한다
영문 초록
Accidents such as falling, flying, collapsing, and falling occur in construction work. Structural analysis of the safety helmet that protects workers from danger i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level of risk depending on whether the helmet is worn or not. The safety helmet is divided into four types, namely A, AB, AE, and ABE, depending on the use and function. Classify hard hats to simulate a steel ball crash test. The safety helmet is modeled as a hard hat with a reinforcing bar and a hard hat without a reinforcing bar, respectively. Model the shock absorber inside the headband and safety helmet. The falling object is modeled as a 50mm diameter steel ball. The human head is modeled in the shape of a sphere. In order to perform impact analysis, it is analyzed with Explicit Dynamics in Workbench. Assuming that the human head is fixed to the body, the lower model of the human head is set to Fixed Support, and the speed of the falling object is set to 19.8 m/s. The initial velocity of the falling object was obtained according to the law of conservation of mechanical energy. Set the gravitational acceleration to 9.81 m/s2 and find the initial velocity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potential energy of an object with an arbitrary mass is converted into kinetic energy at 20 m, which corresponds to the height of the 5th floor of a building. Analysis is performed on five conditions, such as a situation in which an impact is applied to the center and side of the head, and a situation in which an impact is applied to the center and side of the head wearing a safety helme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wearing a safety helmet reduces the impact to the head by about 95% compared to when not wearing a safety helmet. In the field, it is analytically proven why it is essential to wear a hard hat.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해석 결과 종합
Ⅳ.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가설 컨테이너 부자재를 사용한 단일공간(7mx6.5m)의 복층 컨테이너 구조설계에 대한 연구
- 외부 충격을 경감시키는 건설 안전모의 영향성 평가
- 수초(록)지인 한지의 평량 표준 개선 방안 연구
- 산업표준심의회 역할 개선 방안 연구
- 지역 관광수입 추계방법 표준화 연구
- 다계층 기업관계자원 역량평가 표준프레임워크
- 표준화를 위한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개선 저해요인 분석
- 환경데이터 측정을 통한 철도 부품의 사용 환경 조사 및 부품에 대한 가속 수명시험 조건 도출
- 안의료용 하이드로젤 렌즈의 색도 분석에 관한 표준화 연구
- 하이드로젤 렌즈의 내구성 평가를 위한 파단강도의 측정방법에 관한 표준화
- 중간 남성 크기 THOR Metric 더미의 흉부 거동 특성 파악에 대한 연구
- 한스 애빙의 “예술경제의 패러독스” 논리 분석과 대응전략으로서 보조금 지원 관련 표준화 방안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