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내 특수교사 양성 대학의 행동분석 관련 과목 운영 실태: 행동분석전문가 학사학위 과정 자격 기준 마련을 위한 기초 논의
이용수 54
- 영문명
- Current status of behavior analysis-related courses in domestic special education teachers training colleges: basic discussion to prepare criteria for qualification for a bachelor's degree program in behavior analysis experts
- 발행기관
- 한국행동분석학회
- 저자명
- 김연주(Kim, Yeonjoo) 박소영(Park, So-young) 유장순(Yoo, Jang Soon) 백종남(Baek, Jongnam)
- 간행물 정보
- 『행동분석·지원연구』제9권 제2호, 31~5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8.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특수학교 정교사 양성기관의 행동분석 관련 교과목을 분석하여 학사 수준 한국행동분석전문가 자격 마련을 위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전국 특수학교 정교사 양성기관인 대학 중 특수교육과 및 특수교육학부가 설치된 31개 대학교 46개 학과(전공)를 대상으로 학과 홈페이지에 탑재된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전국 특수학교 정교사 양성 학과(전공)에서 행동분석원리와 임상실습 과목이 모두 개설된 대학은 31개 대학 중 23개 대학이다(74.2%). 둘째, 전국 특수학교 정교사 양성 학과(전공)에서 행동분석원리 관련 49과목이 개설되었고, 주로전공선택 3학점으로서, ‘행동수정’‘긍정적 행동지원’, ‘특수아행동수정’ 등의 과목명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국 특수학교 정교사 양성 학과(전공)에서 임상실습 관련 123과목이 개설되었고, 주로 전공선택 또는 교직의 이수구분이며, 2학점 이하 또는 3학점으로서 ‘교육봉사활동’, ‘학교현장실습’, ‘특수교육현장실습’ 등의 과목명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에 따라 행동분석전문가 학사학위 과정 마련을 위해서 예비 특수교사의 전문성 역량 강화를 위한 행동중재 관련 과목추가 개설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tain implications for preparing Korean Behavior Analyst Certification by analyzing the subjects related to behavior analysis at special education teacher training that reflects the qualification standards of bachelor's degree program, which has recently been increasing interest in Korea. We analyzed the curriculum posted on the department's website for 46 departments of 31 universities with special education departments among universities that are special education teacher training institution of nationwid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23 out of 31 colleges (74.2%) have both behavioral analysis principles and clinical practice courses in the department (major) for training teachers in special schools nationwide. Second, 49 subjects related to behavioral analysis principles were opened in the National Special School Teacher Training Department (major), and mainly consisted of 3 credits for elective major, with subject names such as ‘Behavioral modification’, ‘Positive Behavior Support’, and ‘Special child behavior modification’. Third, 123 subjects related to clinical practice were opened in the department (major) for training teachers in special schools nationwide, and mainly consisted of 3 or 2 or less credits for elective major and teaching profession, with subject names such as ‘Educational volunteer activities’, ‘School field practice’, ‘Educational volunteer activities’, and ‘Special education field practic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order to prepare a bachelor's degree course for behavioral analysis specialists, the necessity of opening additional courses related to behavioral interventions to strengthen the professional competence of prelimin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was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미국의 학부 수준 행동분석전문가 자격 고찰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다중반응교수법(MEI)이 발달장애 아동의 자극 등가 관계 안에서 보이는 파생적 읽기 반응과 수 개념 반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컨설팅을 통한 학급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교사의 보편적 중재실행능력과 초등학생들의 기대행동에 미치는 효과
- 개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자폐성장애 중학생의 수업방해 행동에 미치는 영향
- 특수학교에서의 개별차원 긍정적 행동지원이 지적장애 학생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 독립시행훈련이 자폐성장애 유아의 사회적 의사소통기술의 습득에 미치는 효과
- 국내 특수교사 양성 대학의 행동분석 관련 과목 운영 실태: 행동분석전문가 학사학위 과정 자격 기준 마련을 위한 기초 논의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업중단 위기 고등학생의 학업중단 예방을 위한 은유 활용 자아성찰 프로그램(M-SRP)개발
- 미디어 기반 영어 말하기 포트폴리오 활동이 대학생의 말하기 능력과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 살아남은 자의 책임과 타자윤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