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개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자폐성장애 중학생의 수업방해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770
- 영문명
- Effects of Individualized Positive Behavioral Supports on Class Disruption Behaviors of a Middle School Student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 발행기관
- 한국행동분석학회
- 저자명
- 박귀염(Park, Gwi Yeom) 김은경(Kim, Eun Kyung)
- 간행물 정보
- 『행동분석·지원연구』제9권 제2호, 75~104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8.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는 개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자폐성장애 중학생의 수업방해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의 대상은 중학교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1명의 자폐성장애 학생이었다. 연구설계로 행동간 중다간헐기초선설계를 사용하였다. 연구는 기초선, 중재, 유지, 일반화 단계의 순으로 진행되었다. 긍정적 행동지원팀을 구성하여 대상 학생의 수업방해행동에 대한 기능평가를 실시한 후 선행사건 중재, 대체행동 교수, 후속결과 중재, 위기관리계획을 포함한 다요소 중재를 실행하였다. 연구 결과, 개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을 통해 자폐성 장애 중학생의 수업방해 행동이 감소되었다. 더불어 대체행동인 수업참여행동이 나타났다. 개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의 효과는 중재 종료 후에도 유지되었으며 다른 교과 수업 상황으로도 일반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일반중학교에 재학하는 자폐성 장애 중학생을 대상으로 개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을 적용하여 수업방해 행동의 감소와 유지 및 일반화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dividualized positive behavioral supports on class disruption behaviors of a middle school student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The subject was a middle school student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The multiple probe baseline design across behaviors was used for the research design. The study was carried out in the order of baseline, intervention, maintenance, and generalization. For developing individulized positive behavior, the team of PBS was formed. Based on functional behavior assessment for the subject, multi-factor interventions including intervention of antecedents and setting events, alternative behavior instruction, consequences intervention, and crisis management plan were developed and implemented in special education classroom. The result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dividulized positive behavior was effective in decreasing the class disruption behaviors of the middle school student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The effects of the intervention were maintained after the completion of the intervention and generalized to language art class. This study suggests that individulized positive behavior can help reduce the class disruption behaviors, maintain the intervention effects, and generalize the effects for middle school students with autism disabilities attending general middle school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다중반응교수법(MEI)이 발달장애 아동의 자극 등가 관계 안에서 보이는 파생적 읽기 반응과 수 개념 반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컨설팅을 통한 학급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교사의 보편적 중재실행능력과 초등학생들의 기대행동에 미치는 효과
- 개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자폐성장애 중학생의 수업방해 행동에 미치는 영향
- 특수학교에서의 개별차원 긍정적 행동지원이 지적장애 학생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 독립시행훈련이 자폐성장애 유아의 사회적 의사소통기술의 습득에 미치는 효과
- 국내 특수교사 양성 대학의 행동분석 관련 과목 운영 실태: 행동분석전문가 학사학위 과정 자격 기준 마련을 위한 기초 논의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