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외암ㆍ남당 호락논변의 개념구조 검토

이용수 36

영문명
A Review of the Conceptual Structure of the Woiam-Namdang Ho-rak Discourse
발행기관
영남퇴계학연구원
저자명
이상린(Yi, Sang-lin)
간행물 정보
『퇴계학논집』제30호, 71~108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6.30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외암ㆍ남당은 호락논변에서 논변의 주제에 관한 주자학적 해석과 개념구조(논리구조)를 달리한 까닭에 서로 상반되는 견해를 보이고 있다. 외암은 리일ㆍ리통의 측면을 중시하여 ‘리 = 성’의 관점에서 ‘本源的 性’에 주목한다. 그런 까닭에 그는 인ㆍ물성동과 미발심체의 本善을 주장하며, 선악의 원인을 주로 기질의 청탁 여부에 둔다. 외암의 이러한 주장은 ‘인간의 도덕성의 근거’를 확보하려는 의도로 평가된다. 반면에 남당은 분수ㆍ기국의 측면을 중시하여 ‘리 ≠ 성’(성은 在氣의 理)의 관점에서 ‘本來的 性’(인ㆍ물 각자의 본래적인 성)에 주목한다. 그런 까닭에 그는 인ㆍ물성이와 ‘미발심체 기질’의 有善惡을 주장한다. 남당의 이러한 주장은 타존재[物]와는 구별되는 도덕적 주체로서 ‘인간의 존귀성(영명성)의 근거’를 강조하고 있다. 서로 반대되는 외암ㆍ남당의 주장은 동시에 여러 측면에서 공통점도 가지고 있다. 호락논변은 오랜 기간 동안 지속된 대규모 논변이었던 만큼, 그에 대한 사상적 의의에 대한 평가도 다양하다. 하지만 주자학 이론의 범주 안에서 도덕성을 중심으로 인간과 타존재의 존재론적 ‘같음’과 ‘다름’을 논의했던 외암ㆍ남당 사이의 호락논변의 개념구조는 현대적인 세계 인식에 비추어 볼 때 분명한 한계를 가진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최근의 연구성과 중 호락논변의 사상적인 틀을 빌려 현대의 문제들을 분석한 연구가 적지 않은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성과는 호락논변의 개념구조가 인간과 타존재의 본질을 논의하는 데 있어서, 관점과 해석의 방식에 따라 현대적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가능성이 열려 있음을 보여주는 예라고 하겠다.

영문 초록

Woiam(巍巖) and Namdang(南塘) have conflicting views in the Ho-rak discourse because they differed in their conceptual structure (logical structure) from the Zhuzixue interpretation of the subject of the discourse. Woiam emphasizes the aspects of li-yi(理一) and litong(理通), and pays attention to ‘fundamental nature’ from the point of view of ‘li(理) = nature(性)’. For this reason, he insists on the original good of inmulseongdong(人物性同) and ‘unaroused mind itself(未發心體)’, and places the cause of good and evil mainly on whether or not the disposition is pure or impure. This argument of Woiam is evaluated as an attempt to secure the ‘foundation of human morality’. On the other hand, Namdang emphasizes the aspect of fen-shu(分殊) and gikuk(氣局), and pays attention to ‘intrinsic nature’(the ‘intrinsic nature’ of each human and lives except human) from the perspective of 'li ≠ nature' (nature is li in the qi(氣)). For this reason, he insists on inmulseongyi(人物性異) and the coexistence of good and evil in the disposition of the unaroused mind itself. This argument of Namdang emphasizes the ‘foundation of human nobility(numinosity)’ as a moral subject distinct from ‘other beings except human[物]’. The opposing arguments of Woiam and Namdang have something in common in many respects at the same time. As the Ho-rak discourse was a large-scale argument that lasted for a long time, there are various evaluations of its ideological significance. However, the conceptual structure of the Ho-rak discourse between Woiam and Namdang, which discussed the ontological ‘sameness’ and ‘difference’ of humans and other beings except human with a focus on morality, within the scope of the Zhuzixue theory, seems like to have clear limitations in view of modern world perception. However, among recent research achievements, it can be seen that there are not a few studies that analyze modern problems by borrowing the ideological framework of the Ho-rak discourse. This research result is an example that shows that the conceptual structure of the Ho-rak discourse opens up the possibility of giving a modern meaning depending on the point of view and the way of interpretation in discussing the essence of humans and other beings except human.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외암ㆍ남당의 리기론적 개념구조
3. 외암ㆍ남당의 심성론적 개념구조
4. 외암ㆍ남당 논의의 개념구조
5. 나오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상린(Yi, Sang-lin). (2022).외암ㆍ남당 호락논변의 개념구조 검토. 퇴계학논집, (), 71-108

MLA

이상린(Yi, Sang-lin). "외암ㆍ남당 호락논변의 개념구조 검토." 퇴계학논집, (2022): 71-10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