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 사회 불평등과 격차해소를 위한 정책 제안 연구
이용수 450
- 영문명
- Policy Suggestions for Resolving Inequality and Income Gaps in Korean Society
- 발행기관
- 중앙사회복지연구회
- 저자명
- 김성욱(Kim, Seongwook)
- 간행물 정보
- 『사회와 복지』제4권 제1호, 83~105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소득과 자산에 기반한 불평등과 소득 및 계층이동성 지표를 통해 한국 사회의 불평등을 새롭게 조망하고, 불평등 원인과 정책지향 및 정책대상에 대한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우리 사회 불평등의 근간에는 격차확대에 따른 갈등과 불안이 자리하고 있으며, 소득중단이나 미래불안정성을 완화하는 대응방식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이러한 인식에 기반하여 격차와 불안을 완화하는 데 초점을 둔 단기 및 중장기적 제도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provides a new perspective on inequality in Korean society through the indicators of income and class mobility, and suggests a new policy direction.
Through this, it emphasizes that conflict and anxiety due to the widening of the gap lie at the root of inequality in our society, and that there is a need that reduces income disruption or future instability. Finally, based on this perception, this study proposes short-term and mid-to-long-term institutional improvement plans focused on alleviating gaps and anxiety.
목차
Ⅰ. 서론: 격차와 불안의 사회, 그리고 한국의 불평등
Ⅱ. 불평등의 일반적 현황
Ⅲ. 불평등의 원인에 관한 선행연구
IV. 결론 및 정책제안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장애인 1인 가구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요인 :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정신장애인의 클럽하우스 이용 경험에 관한 개념도 연구
- 성인 중증장애인의 재난안전교육 경험 변화와 재난대응수행 변화와의 관계 : 사회관계망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